정치 국회·정당·정책

여야, 후반기 국회 출범 10일만에 회동…원구성 합의 불발

법사위 두고 신경전…국회공백 장기화

민주 "법사위 권한축소 함께 논의해야"

국힘 15개 상임위 간사 발표 '민주당 압박'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오른쪽)와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운영위원장실에서 후반기 국회 원 구성 협상에 착수하기 위해 회동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송언석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오른쪽)와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운영위원장실에서 후반기 국회 원 구성 협상에 착수하기 위해 회동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




여야 지도부가 후반기 국회 원 구성을 논의하려 8일 만났지만 입장 차만 확인한 채 빈손으로 종료됐다. 국민의힘은 국회 공백기를 메우기 위해 15개 상임위원회 간사 내정자를 이날 발표했다.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여의도 국회에서 만나 50분 가량 후반기 국회 원 구성 문제를 협의했다. 국회의 개점휴업 상태가 지속된지 열흘 만에 이뤄진 첫 협상이었지만 법제사법위원장 배분 문제를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진 수석은 회동 종료 뒤 기자들과 만나 “원 구성 문제와 관련해 말씀을 나눴지만 좀처럼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며 “아직 접점을 마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두 수석은 국회 공백 상태를 방치해선 안 된다는 데에는 공감대는 이뤘기 때문에 대화는 이어가겠다는 원론적 입장만 밝혔다.



양당의 최대 쟁점은 법사위원장의 향방이다. 민주당은 장관급 인사들의 인사청문회 개최를 위해 우선 의장을 선출한 뒤 법사위원장 배분을 재협상하자고 요구하지만, 국민의힘은 의장단 선출과 법사위원장 배분을 일괄 타결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관련기사



민주당은 법사위의 권한 축소도 이번 원 구성과 함께 논의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박홍근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법사위의) 체계·자구 권한과 관련한 남용 및 월권에 대한 확실한 장치를 만들자고 했고, 이는 국민의힘이 법사위를 맡는다는 것(지난해 합의)에 연동돼 있다”며 “법사위의 월권이 잡히지 않다 보니 누가 법사위를 맡느냐가 국회 파행의 단초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송 수석은 “현 시점에서 법사위의 기능에 손대는 것은 더 큰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며 “상임위 재배분에 논의를 한정해 타결하는 것이 국회의 책무”라고 선을 그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도 “돌려주지 않겠다는 얘기와 일맥상통한다”며 “법사위를 법제위와 사법위로 분리하고 사법위를 우리 주고 법제위를 민주당이 가져가겠다는 속셈인 것 같다. 그건 법사위를 돌려주겠다는 약속을 파기한 것으로 보인다”고 반발했다.

원 구성 협상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국민의힘은 이날 국회 18개 상임위원회 중 15곳의 간사를 발표했다. 급한대로 상임위 간사부터 선임해 민생을 챙기고 국회 공백의 책임이 민주당에 있음을 부각시키려는 의도다.

법제사법위 간사는 정점식 의원이 맡으며 △정무위 윤한홍 의원 △기획재정위 류성걸 의원 △외교통일위 김석기 의원 △국방위 신원식 의원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 박성중 의원 등이 간사를 맡기로 했다.

송 수석은 “정부의 집행력을 뒷받침하고 여야의 협치가 가능하도록 재선 의원을 중심으로 (간사에) 배치했다”며 “일부 상임위(교육·여가·정보위)는 다음 기회에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