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화물연대 총파업 피해액 6일 만에 1.6조… 철강·석화 출하 차질

이번 주부터 피해 규모 크게 확대될 듯

"복합 위기 상황에서 막대한 경제 피해"

지난 10일 경북 포항시 남구 포항철강산업단지 내 한 철강업체 입구에서 화물연대 포항지역본부 조합원 200여명이 회사에 들어가려는 트레일러를 막아서고 있다. 경찰이 출동한 가운데 화물연대는 30여 분간 승강이를 벌이다가 통행로를 열었다. 연합뉴스지난 10일 경북 포항시 남구 포항철강산업단지 내 한 철강업체 입구에서 화물연대 포항지역본부 조합원 200여명이 회사에 들어가려는 트레일러를 막아서고 있다. 경찰이 출동한 가운데 화물연대는 30여 분간 승강이를 벌이다가 통행로를 열었다. 연합뉴스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로 인한 산업계 피해 규모가 6일 만에 1조 6000억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부터 7일째 계속되는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 관련 물류 차질로 산업 전반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자동차·철강·석유화학·시멘트 등 주요 업종에서 7~12일간 총 1조 6000억 원 상당의 생산, 출하, 수출 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13일 밝혔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부품 반입 차질 등으로 총 5400대(2571억 원 상당)의 생산 차질이 발생했다. 철강 업계에서는 육상 운송 화물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제품 반출이 제한돼 총 45만 톤(6975억 원 상당)의 출하 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석유화학 업계에서는 여수·대산 등 석유화학 단지를 중심으로 제품 반출이 제한돼 약 5000억 원 가량의 제품 출하가 차질을 빚었다. 시멘트 업계에서는 평시 대비 90% 이상 감소한 극심한 출하 차질을 겪어 81만 톤(752억 원 상당)의 시멘트가 건설 현장 등으로 공급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이어 업계에서는 약 64만 개(570억 원 상당)의 제품 출하 차질이 발생했다.

산업부는 이같이 파악된 주요 업종 피해 외에도 이번 물류 차질이 산업 전반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 탓에 실제 피해 규모는 더 클 것이라 보고 있다. 특히 지난 6일간 발생한 극심한 제품 출하 차질로 일부 업체의 적재 공간은 한계에 달해 이번 주부터 피해 규모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대표적으로 포스코 포항제철소는 이날부터 재고 적재공간 부족으로 선재·냉연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시멘트 업계에서는 이번주 중 대부분의 공장 가동률이 50% 수준으로 축소된 상태다. 석유화학 일부 업체도 이번 주부터 생산량 축소를 계획하고 있다.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우리나라 경제가 글로벌 공급망 위기,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복합 위기를 맞고 있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화물연대 관련 물류 차질이 장기화할 경우 국민 경제와 산업 전반에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조속하고 원만한 합의와 물류 정상화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세종=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