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LGU+·KAIST, 양자컴으로 6G 위성통신 최적화

양자컴으로 저궤도 위성 통신 최적화

비행기·사막 등에서도 위성으로 6G


LG유플러스(032640)가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협력해 양자 컴퓨터를 이용한 6세대 이동통신(6G) 저궤도위성 네트워크 최적화를 연구했다. 지상뿐 아니라 비행기나 사막 등 기존 통신 서비스가 불가능한 지역에서 6G 통신을 가능케 하는 연구다.

사진제공=LG유플러스사진제공=LG유플러스






14일 LG유플러스는 지난해 12월부터 6개월간 세계 최초로 상용화된 D-웨이브(D-wave) 양자컴퓨터를 사용해 6G 저궤도위성 네트워크 망 구조 최적화를 연구했다고 밝혔다. 연구에는 LG유플러스와 KAIST 이준구·한동수 교수 연구팀이 참여했다.

관련기사



이 연구는 위성 위치가 빠르게 바뀌는 저궤도위성과 지상 네트워크 간 최적의 네트워크 구성을 찾아내는 내용을 담았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200~2000km 상공에 떠있는 저궤도위성은 고도 3만6000km에 고정된 정지궤도위성과는 달리 위성의 위치가 실시간으로 바뀌어 연결점 최적화가 어렵다”며 “양자컴퓨터로 하나의 위성에서 통신할 수 있는 주변 위성의 개수와 거리를 정해 빠르게 계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양자컴퓨터를 이용한 위성 네트워크 최적화 알고리즘은 기존 최적화 알고리즘 대비 홉(Hop·연결하지 않고 건너 뛰는 연결점) 수와 경로 길이가 획기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를 통해 위성통신 환경에서도 지상통신과 차이가 없는 초성능(1Gbps 이상의 이용자 체감속도)·초정밀(종단간 5ms 이하의 지연시간)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LG유플러스는 이 기술이 상용화 될 시 6G에서 추구하는 ‘초공간성’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초공간성이란 지상에서 고도 10km까지, 최대 시속 1000km로 움직이는 물체에도 통신 연결이 가능함을 뜻한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선행개발담당은 "미래 핵심기술인 양자컴퓨터를 통해 위성통신에서도 최적의 통신 품질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윤민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