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황철성 교수 "반도체 계약학과 효용성 없어…석·박사 양성이 유일한 방안"

교육부 '반도체 산업 인재 수요' 토론회 개최

황철성 교수 발제…SK하이닉스 부사장 참석

"계약학과 교수 선발 어렵고 실습도 힘들어"

산업계 "정원 확대·계약학과 세제혜택 필요"

교육부 전경교육부 전경




황철성 서울대 재료공학부 석좌교수가 “반도체 계약학과는 교수 선발이 어렵다는 점에서 현실성이나 효용성이 없다”며 “어렵고 시간이 많이 들더라도 석·박사급 고급 인력을 키워내는 것만이 현재 유일하게 가능한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황 교수는 15일 오전 정부 세종청사에서 열린 교육부의 ‘반도체산업 생태계와 인재 수요’ 공개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서 이처럼 말했다.

이번 토론회는 교육부가 인재양성 주관 부처로서 첨단산업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해 산업·과학기술 생태계를 이해하고 현장과 적극 소통한다는 차원에서 마련됐다. 최근 교육부는 윤석열 대통령이 반도체 인력 양성을 위한 규제 개혁을 주문하는 등 ‘반도체 드라이브’를 걸면서 수도권 대학의 첨단산업 관련 학과 정원 확대 등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토론회에는 김지훈 이화여대 교수와 한동석 경북대 교수, 김형환 SK하이닉스 부사장, 전공 학생 등이 참여했다. 황 교수는 이날 ‘한국 반도체 산업 현황과 인력 양성 문제’를 주제로 발제를 맡았다. 황 교수는 삼성전자 반도체 연구소 선임연구원과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장을 역임한 반도체 분야 석학이다.

관련기사



황 교수는 “대한민국이 기술적 우위를 가지고 있는 메모리 반도체 역량을 활용하는 동시에, 지배적 강자가 존재하지 않는 인공지능 반도체에 대한 도전적 연구가 필요하다”며 “전공 석·박사, 관련학과 전공자, 비전공 학사 등 수준별 인재를 맞춤형으로 양성하기 위해 산·학·연 협력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황 교수에 따르면 반도체 산업의 고급 인력은 2023~2032년 5565명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석·박사급 고급 인력을 키워내는 것이 반도체 인력 양성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반도체 계약 학과 설립 움직임이 있지만 계약이 해지되면 없어져 대학 입장에서는 정규 교수를 선발하기 어렵다”며 “또 학부생만 있으니 연구를 할 수가 없고, 우수 교수를 뽑을 수도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학부에선 전문 교육을 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실험 실습이 반드시 필요한데 계약 학과를 위한 클린룸이나 장비는 전혀 없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어렵고 시간이 많이 들더라도 교수가 충분한 연구 활동할 수 있게 지원해 석·박사급 고급 인력을 키워내는 것 만이 현재 유일하게 가능한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산업계에서 참석한 김형환 SK하이닉스 부사장 역시 계약학과와 관련해 교수 채용의 어려움, 투입 비용의 부담 등의 고충을 털어놨다. 또 공대 졸업생을 신입으로 채용한 경우 학교 교육이 실제 반도체 개발·생산과 거리가 있어 2년 이상의 현장 경험과 재교육이 필요한 상황이라고도 전했다. 이에 반도체 대학 정원 확대와 계약학과 운영 관련 비용 세제 혜택, 관련 교수 지원 시 정부의 매칭 등을 요청했다.

김지훈 이화여대 교수는 정책을 수립할 때 설계, 반도체 소자 및 공정, 소재·부품·장비로 나눠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동석 경북대 교수는 산업과 균형발전을 고려한 대학지원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반도체 분야별 필요 인력을 고려해 ‘수준별’로 반도체 인력 양성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도 주장했다. 학생 자격으로 참석한 박솔아 서울대 대학원생은 도구(Tool)와 서버, 질 높은 교수 자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해줄 것을 요구했다.


신중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