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박지원"2주 연기된 이준석 징계…스스로 결단하라는 압박"

"이준석 높이 평가해…징계 내려지면 아까워"

창당은 "총선 앞둔 필연적인 이야기"

박지원(왼쪽) 전 국가정보원장과 이준석(오른쪽) 국민의힘 대표. 연합뉴스박지원(왼쪽) 전 국가정보원장과 이준석(오른쪽) 국민의힘 대표. 연합뉴스




박지원 전 국정원장은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가 이준석 대표에 대한 징계 결정을 2주 뒤로 미룬 것에 대해 “이 대표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라는 압박이자 경고”라고 밝혔다.



박 전 원장은 23일 YTN 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서 국민의힘 윤리위가 김철근 당 대표 정무실장에 대해 징계 절차를 개시하면서도 이 대표에 대한 결정은 연기한 것과 관련해 이같이 말했다.

관련기사



박 전 원장은 이 대표와 김 실장을 주범과 종범 관계에 비유하며 “주범을 압박하기 위해 종범부터 처벌에 들어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종범이 징계를 받으면 주범은 좀 위험해지는 것 아닌가"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윤리위가) 이 대표에게 고문을 가하는 것“이라며 ”어떤 결단을 하라고 암시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 전 원장은 "이 대표를 높이 평가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보수당에 젊은 이 대표가 들어가 선거에서 승리했는데 “징계가 내려진다면 굉장히 아깝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도 "당 대표라고 해서 윤리위 결정을 무시할 순 없다"고 전했다.

"이 대표가 유승민 전 의원 도움으로 창당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들린다"는 진행자의 말에는 "그럴 가능성도 있다"며 2024년에 있을 총선을 앞두고 필연적으로 나오는 이야기라고 답했다.

한편 국민의힘 윤리위는 지난 22일 회의를 열고 이 대표의 성 상납 및 증거인멸 교사 의혹과 관련한 사실 관계 확인 절차를 진행했다. 회의 결과 이 대표에 대한 징계 심의 절차는 내달 7일로 연기됐다. 이 대표의 측근인 김 실장에 대해서는 증거인멸 의혹 관련된 품위유지 의무 위반을 이유로 징계 절차를 개시했다. 김 실장은 이 대표 성 상납 의혹이 나온 뒤 제보자를 만나 ‘성 상납이 없었다’는 내용의 사실 확인서를 받고 ‘7억 원 투자 각서’를 쓴 의혹을 받는다.


조교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