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1억 달러(약 1283억 원) 규모의 외화 표시 국채 이자를 갚지 못해 104년 만에 외채 디폴트(채무 불이행)에 빠졌다. 다만 해당 채권을 사들인 투자가들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서방의 제재를 받는 과정에서 발생한 일인 만큼 일단 상황을 지켜본 뒤 ‘최종 디폴트 선언’ 여부를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블룸버그통신은 러시아가 26일(현지 시간)이 만기인 외채 이자 1억 달러를 지급하지 못해 디폴트 상태가 됐다고 전했다. 해당 이자 지급 만기일은 5월 27일이었으며 이날로 30일의 유예기간까지 종료됐다.
이에 따라 러시아는 1918년 볼셰비키 혁명 이후 104년 만에 처음으로 외채 디폴트를 맞게 됐다. 당시 디폴트는 레닌이 왕정의 국가 부채 상환을 거절하면서 발생했다. 러시아가 1998년 선언한 모라토리엄(채무 상환 유예)은 루블화 표시 국채가 대상이었다. 블룸버그는 “(디폴트는) 러시아가 세계 경제·정치에서 ‘왕따’가 됐음을 보여주는 암울한 표식”이라고 전했다.
러시아의 디폴트는 예고된 수순이다. 러시아가 달러화 채무의 원금과 이자를 상환하려면 미국 금융사를 통해야 하지만 미국 정부의 제재로 러시아 중앙은행과 재무부·국부펀드는 미국 금융기관과 거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러시아는 이번에 상환되지 않은 이자를 이미 국제예탁결제회사에 전달했다는 입장이지만 미국의 제재로 채권자 계좌에는 이자가 입금되지 않았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에게 “(채권 이자 미입금은) 우리 문제는 아니다”라며 “이 상황을 디폴트라 부를 근거가 없다”고 일축했다.
외신들은 러시아의 최종 디폴트 처리 여부가 채권자들의 손에 달렸다고 보고 있다. 통상 디폴트 여부를 결정하는 신용평가사들이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에 대한 신용등급 부과를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AP통신은 “채권자의 25% 이상이 이자를 받지 못했다고 밝히면 공식적으로 디폴트가 선언된다”며 “이 경우 러시아의 다른 외채들도 즉시 지급 불능에 빠진다”고 설명했다. 다만 블룸버그통신은 이번 디폴트가 러시아의 상환 능력 부족이 아니라 서방의 제재에서 비롯된 만큼 투자자들이 당장 디폴트 선언을 결정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안톤 실루아노프 러시아 재무장관도 최근 “러시아에 디폴트 ‘딱지’를 붙이기 위해 촌극을 벌이고 있다”고 반발한 바 있다.
이번 디폴트가 세계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신흥시장 채권 투자 펀드 등 채권 보유자는 손실을 볼 수 있지만 러시아가 신흥시장 채권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 자체가 미미하기 때문이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도 “디폴트가 시스템 위기로 연결될 확률은 높지 않다”고 했다. 블룸버그는 “이번 디폴트는 (실제 피해보다) 상징적 의미가 더 크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