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투자의 창] 자산배분 다시 보기

편득현 NH투자증권 WM마스터즈 전문위원

편득현 NH투자증권 WM마스터즈 전문위원편득현 NH투자증권 WM마스터즈 전문위원





‘자산 배분’이라는 이론이 자리잡게 된 것은 근본적으로 인간의 행동 심리와 관련이 높다. 예를 들어 2017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리처드 탈러 교수는 ‘최근 3년간 가장 성과가 나쁜 주식들의 투자 성과가 그 다음 3년간은 기존 좋은 성과를 보였던 주식들보다 우수하다’고 주장한다. 경기 사이클의 각 국면별로 성장주와 가치주, 경기민감주와 경기방어주, 대형주와 소형주 등 각 산업과 기업들의 투자 성과가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 현상은 자산군별로 봐도 유효한데 주식이 좋은 해에는 원자재가 나쁜 성과를 보이며 올해와 같이 주식이 부진한 해에는 원자재의 투자 성과가 월등한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처럼 ‘각 자산군이 좋은 성과를 내는 시기가 상이하다’는 현상을 이용하는 것이 ‘포트폴리오(자산 배분) 투자법’의 원리인데 그 근간에는 자산군별 특성 외에도 앞에서 언급한 인간의 행동 심리가 있다. 즉 특정 자산이 지속 상승해 비싸지면 매도하고 그동안 부진한 시기를 보낸 자산을 매수해 다시 성과를 내려는 투자자들의 심리가 계속해서 작동하는 것이다.

관련기사



물론 주식과 채권 등 대표적인 투자처들이 동반 하락하면서 거의 모든 자산들이 부진한 성과를 내는 경우도 평균적으로 10년간 2~3회 정도 발생한다. 2015년 미국에서 리츠 수익률이 2.5%로 전 자산군 중 최고였던 것이 대표적 사례이다. 현재와 같이 시장이 어려울 때는 위험 자산이 모두 불안해 보이고 투자자들의 공포심이 커지는 것도 당연하다. 하지만 투자 시간을 장기적으로 살펴보면 자산들은 대부분 플러스 성과를 내기 때문에 이를 혼합해 투자하는 포트폴리오 투자법이 우수한 성과를 낼 수밖에 없다. JP모건자산운용에 따르면 교과서적으로 주식에 60%, 채권에 40%를 투자한 포트폴리오의 20년간 연평균 수익률은 7.4%라고 한다. 같은 기간 평범한 투자자들의 수익률은 3.6%에 불과해 포트폴리오 투자법은 장기적으로 두 배 이상의 성과를 안겨주는 유용한 투자법임을 알 수 있다. 시계열을 늘려 1950년부터 2021년까지 살펴봐도 주식 50%, 채권 50%에 투자한 포트폴리오의 연평균 수익률도 역시 9.0%로 장기적으로 그 유용성이 입증되고 있다.

주요 연금 운용국들의 공·사적 연금들은 지난 20년간 평균적으로 연간 6~7%의 수익률을 내고 있어 국내 연금들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최근 발표된 국민연금의 33년간 연평균 수익률도 6.7%로 세계적인 연기금들에 비해 손색이 없는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국민연금도 전문가들이 모든 자산군을 연구해 최적의 조합을 쫓아 투자하기 때문이다. 반면 개인연금과 퇴직연금으로 나뉘는 우리나라 사적 연금의 연간 수익률은 최근 10년간 3%를 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동안 금리가 지속적으로 하락했음에도 자산 배분을 하기보다는 기존의 채권 위주 투자법을 고수했기 때문이다. 최근 물가 상승세가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어 원금을 지키는 투자가 사실상 ‘원금 보장’이 아니라는 점은 주지의 사실이다. 역사적으로 10년간 약 2~3번의 원금 손실 사건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지만 나머지 기간 동안 우수한 성과를 만들고 기존의 손실분을 모두 만회하는 자산 배분형 투자법을 외면한다면 우리나라는 연금에 있어 ‘갈라파고스 군도’가 될 확률이 높다. 전 세계 연금 운용국 대부분이 원금 손실이라는 위험을 감수하고도 적극적으로 수익률을 향상하려는 목표를 추구하는 이유는 자산배분이 지금까지 검증된 모든 투자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투자자들도 가입 기간 내내 원금이 유지되기를 바라기보다는 자산의 다각화를 통해 장기적으로 수익률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하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