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기자의 눈] 증시 뇌관된 '빚투' 대책 마련 시급하다

한동희 증권부 기자





국내 증시가 한 달 만에 가까스로 급락세에 제동을 걸었지만 불안의 불씨는 여전히 활활 타고 있다. 무리하게 빚을 내 투자한 이른바 ‘빚투족’들의 충격이 이어지고 있어서다.

개미들은 코로나 거품과 장밋빛 전망에 취해 너도나도 돈을 빌려 주식 투자에 나섰다. 영혼까지 끌어모아 빚내 투자한다는 ‘영끌’ 투자라는 신조어가 나올 정도의 열기였다. 특히 2030세대의 부채가 가파르게 늘었다. 그러나 올 들어서 코스피는 20%, 코스닥은 27%가 급락했고 빚투는 증시의 새로운 뇌관으로 자리 잡았다.



이를 알 수 있는 것이 바로 신용 융자 잔액 규모다. 신용 거래 융자 잔액은 개인이 돈을 빌려 주식에 투자한 뒤 아직 갚지 않은 돈이다. 주가 급락으로 증권사의 반대매매가 늘어나면 신용 거래 융자 잔액 규모는 줄어든다.

관련기사



코스피 시장의 신용 거래 융자 잔액은 시가총액의 0.6%, 코스닥은 2.7% 수준으로 파악됐다. 코로나19 이전 평균(코스피 0.4%, 코스닥 2.3%)과 비교해 봤을 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역사적인 패턴을 관찰해 봤을 때 신용 융자 잔액 비율의 감소가 이뤄져야만 증시의 추세적 반등이 이뤄졌다는 점에서 우리 증시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신용 융자 잔액이 3조~5조 원 정도 정리돼야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5년간 가계 빚은 급속히 불어나 나라 전체가 금리 인상에 취약해졌다. 미국이 가파르게 금리를 인상하면서 우리도 금리를 올리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금리 인상은 2030 ‘빚투’ 세대에 특히 심한 타격을 입힐 것이다. 주식과 함께 코인·부동산 등 3대 자산 거품이 꺼지는 징후가 강해지고 있다. 빠른 금리 인상 속도가 반대매매와 맞물려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배경이다.

투자는 기본적으로 개인의 책임이다. 그러나 개인이 오롯이 짊어지기에는 손실이 너무 무거워졌다. 금융감독원이 뒤늦게 자본시장의 리스크 관리를 위해 행동에 나서며 시장 안정 조치를 추진하고 있지만 채무자 충격을 완화할 다양한 대책 마련도 서둘러야 한다.

한동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