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아파트 소화전 관창 수백 개 사라진 이유는?

광주 도심 아파트 단지서 소방호스 관창 490여 개 훔쳐

소방 관창이 일반 고철보다 7∼8배 비싸게 팔리는 점 노려

소방 관창 거래한 고물상 업주도 장물취득 혐의로 입건

아파트 옥내 소화전에 보관된 소방호스 관창. 연합뉴스아파트 옥내 소화전에 보관된 소방호스 관창. 연합뉴스




소화전 관창(노즐) 수백여 개를 훔쳐 고물상에 팔아넘긴 60대 남성이 긴급체포됐다.



광주북부경찰서는 광주 도심 아파트 단지를 돌며 소방 관창을 상습적으로 훔친 혐의를 받는 A(61) 씨를 입건해 조사 중이라고 29일 밝혔다. A씨는 이달 18일부터 최근까지 광주 북구와 서구에 있는 아파트 8곳에서 소화전에 보관된 소방호스 관창 490여 개를 훔쳐 고철로 내다 판 혐의를 받는다.

관련기사



앞서 경찰은 광주 도심 아파트 단지 여러 곳에서 옥내 소화전의 소방호스 관창이 사라졌다는 도난 의심 신고 여러 건을 접수했다. 확인에 나선 경찰은 관창을 도난당한 아파트 인근의 방범 카메라(CCTV) 영상을 분석한 뒤 A씨를 용의자로 특정해 검거했다.

A씨는 구리나 황동 등의 합금 소재로 이뤄진 소방 관창이 고물상에서 일반 고철보다 7∼8배 비싸게 팔리는 점을 노리고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A씨와 소방 관창을 거래한 고물상 업주도 장물취득 혐의로 입건하고, 도난당한 관창의 절반가량을 회수했다. 또 A씨의 추가 범행 여부를 수사하는 동시에 광주지역 다른 아파트 단지의 피해 사례가 있는지 소방 당국에 전수조사를 요청했다. 경찰은 A씨가 동종 전과를 가지고 있다는 점과 재범 및 도망의 우려가 크다는 점을 고려해 A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할 방침이다.

소방 관창은 화재 진압에 필수적인 소방시설 구성품으로, 화재 시 소방호스에 결합해 손으로 붙잡고 소화 용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만든 장비다. 관창이 없으면 정확한 화점에 물을 분사할 수 없어 소방 장비로서 제 역할을 할 수 없다.


김후인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