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최소침습술 선도 서울아산병원, 고난도 식도암 수술 ‘사망률 0%’

작년 177명 수술 불구 세계적 성과

로봇·흉강경 활용 합병증 발생 줄여

김용희(왼쪽) 서울아산병원 식도암센터장이 다빈치 로봇을 이용한 식도 절제 수술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서울아산병원김용희(왼쪽) 서울아산병원 식도암센터장이 다빈치 로봇을 이용한 식도 절제 수술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서울아산병원




서울아산병원은 지난해 흉부외과에서 식도 절제 및 재건수술을 받은 식도암 환자 177명의 수술 사망률이 0%를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수술 사망률은 전체 수술 환자 중 30일 이내에 사망한 환자의 비율이다.



식도암 수술은 암 조직이 있는 식도를 잘라낸 다음 위장이나 소장, 대장을 이용해 식도를 만들어 원래 식도의 남은 부분과 연결해야 한다. 절개 범위가 넓고 고령 환자가 많아 수술 후 통증, 감염, 폐렴 등의 합병증과 사망 위험이 크다. 평균 8~12시간, 기존에 식도암 수술 병력이 있는 경우에는 최장 26시간까지도 소요되는 고난이도 수술이다. 전 세계적으로 식도암 수술을 연간 30례 이상 집도하는 병원이 드물다. 한 해에 200례 가까운 수술을 하면서도 사망자가 나오지 않은 것은 국내외를 통틀어 서울아산병원이 유일하다.

관련기사



서울아산병원은 지난 1989년 개원 때부터 식도암 수술을 시작해 2011년 1000례를 달성했다. 2017년부터는 연간 150건이 넘는 식도암 수술을 시행 중이다.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는 넓은 절개 범위에 따른 흉터와 통증, 합병증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해 로봇이나 흉강경을 이용한 최소침습수술을 적극 시행해왔다. 로봇으로 수술을 하면 가슴과 복부에 1cm 이하의 구멍을 4~5개 정도만 내기 때문에 환자가 느끼는 고통이 줄어들고 회복 기간도 단축된다. 2021년 식도암 수술 환자 177명 가운데 110명(62%)이 다빈치 로봇을 이용한 수술을 받았다. 일반적으로 로봇수술은 식도암 초기나 방사선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에게 적용하지만, 서울아산병원은 아시아에서 식도암 로봇수술을 가장 많이 시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지난 10년여 간 다양한 병기의 식도암 환자들은 물론 항암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에게도 로봇 수술을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었다.

여러 진료과 간 긴밀한 협진 시스템도 이러한 성과를 가능케 한 요인으로 꼽힌다. 식도암 치료는 흉부외과를 비롯해 위장관외과, 대장항문외과, 이비인후과, 방사선종양학과, 종양내과, 소화기내과, 영상의학과 등 다양한 분야의 의료진간 협진이 필수다. 서울아산병원은 20여 년 전 국내 최초로 식도암 통합진료를 시작하며 환자 맞춤형 수술 방향을 세우고 체계적인 중환자 관리를 시행하고 있다.

김용희 서울아산병원 식도암센터장(흉부외과 교수)은 “다른 암에 비해 수술 사망률이 월등히 높은 식도암 분야에서 '수술 사망률 0%’ 기록은 놀라운 성과"라며 “앞으로도 진료과 간 유기적인 협진 시스템을 바탕으로 식도암 환자들에게 수준 높은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