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치명적인 감염성 심내막염, 고혈압과 연결고리 찾았다

고대안암병원, 한국인 건강검진 빅데이터 활용 연구 결과

혈압 높을수록 감염성 심내막염 위험 높다는 사실 첫 규명

(왼쪽부터) 가정의학과 이규배 전공의·김양현 교수, 흉부외과 김희중 교수, 가정의학과 신고은 교수. 사진 제공=고대안암병원(왼쪽부터) 가정의학과 이규배 전공의·김양현 교수, 흉부외과 김희중 교수, 가정의학과 신고은 교수. 사진 제공=고대안암병원




치명률이 높은 감염성 심내막염과 고혈압의 상관관계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고대안암병원은 가정의학과 김양현·신고은 교수와 이규배 전공의, 흉부외과 김희중 교수 연구팀이 숭실대학교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와 함께 진행한 연구를 통해 고혈압과 감염성 심내막염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지난 2009년부터 2018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검진에 참여한 408만 331명의 빅데이터를 분석했다. 이 기간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진단받은 사람은 812명을 분석한 결과, 혈압이 높을수록 감염성 심내막염 발생과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성 심내막염은 심부전, 패혈성 색전증, 뇌졸중, 장기부전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한다. 병원 내 사망률이 20% 정도로 높은 치명적인 감염질환이다. 전 세계적으로 심내막염 발생률이 증가세를 보이면서 국제적인 관심이 집중되고 있지만, 위험인자를 규명하기엔 부족한 실정이었다.

관련기사



연구팀에 따르면 수축기혈압 120~140mmHg 미만, 이완기혈압 80mmHg~90mmHg미만인 고혈압 전 단계에서는 정상 혈압(120/80mmHg미만)에 비해 감염성 심내막염 위험이 1.39배 높았다. 140/90mmHg 이상인 고혈압 단계에서는 2.15배, 이미 고혈압으로 진단 받고 약물치료를 진행 중인 환자의 경우 2.9배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논문의 제1저자인 이규배 전공의는 “기존 연구가 매우 제한적이었지만 국내 빅데이터를 통해 양질의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며 “만성질환의 관리와 심혈관질환 예방 등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 국민 건강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양현 교수는 “고혈압이 심장을 침범하는 감염성 심내막염의 위험인자로 작용한다는 점을 밝힌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고혈압이 감염성 심내막염을 직접적으로 유발하지는 않지만 감염성 심내막염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심과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논문은 ‘고혈압과 감염성 심내막염의 상관관계’란 제목으로 미국심장협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고혈압(Hypertension)’ 최신호에 게재됐다.

/안경진 기자 realglasses@sedaily.com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