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기아도 전동화 PBV 공장 만들어 … 年 최대 15만대 생산능력 갖춘다

[현대차 전동화 비전 가속]

1997년 이후 25년만에 신공장

2024년 완공…2025년 양산 목표

초소형서 대형급까지 제품 출시

기아가 선보일 첫 전용 목적기반차량(PBV) 콘셉트 사진.기아가 선보일 첫 전용 목적기반차량(PBV) 콘셉트 사진.




기아(000270)는 이미 세계 1위 목적기반차량(PBV) 제조사로 거듭난다는 목표로 국내에 전동화 PBV 전용 공장을 신설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오토랜드 화성(화성 공장) 내에 2025년 양산을 목표로 연간 최대 15만 대의 생산능력을 갖춘 PBV 전용 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다. 기아가 국내에 공장을 신설하는 것은 1997년 화성 3공장 이후 25년 만이다. 공장은 이르면 내년에 착공해 2024년 말 완공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PBV는 운전자 중심으로 설계된 기존 자동차의 개념을 넘어 사용 목적에 초점을 둔 운송 수단이다. 운송 업체의 요구 사항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작되는 점이 특징이다. 자율주행 기술을 바탕으로 대중교통·물류·상업·의료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다.

기아는 일찍이 PBV 시장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고 ‘2022 CEO 인베스터데이’에서 글로벌 1위 PBV 브랜드가 되겠다는 과감한 목표를 발표했다. 업계에서는 2030년이면 세계 PBV 시장 규모가 연간 2000만 대 수준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미국 제너럴모터스(GM)는 전기 PBV를 운송 업체 페덱스에 공급하고 있고 일본 도요타 역시 시장 진출을 추진하는 등 글로벌 제조사의 경쟁도 시작된 상태다.

기아는 우선 기존 양산 차를 기반으로 한 PBV ‘레이 1인승 밴’, 택시 전용 ‘니로 플러스’를 판매하고 향후 신설될 공장에서 스케이트보드 플랫폼 ‘eS’를 적용한 전용 PBV를 제작해 선보일 계획이다. 중형 PBV(프로젝트명 SW)를 시작으로 소화물이나 식품 배달 등에 최적화된 초소형부터 대중교통수단을 대체하거나 이동식 오피스로 활용할 수 있는 대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차급의 PBV를 내놓을 예정이다.

앞서 송호성 기아 사장은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화성 공장은 기아 PBV 생태계의 중심이 될 것”이라며 “라인을 구축해 소비자 요구에 맞는 자동차를 3년 뒤에는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창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