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4차 접종' 바이든도 감염된 BA.5 변이, 연구결과 보니

美 언론 "오미크론 하위 변위 BA.5 면역 회피"

전염성도 높아…추가 접종 여부 두고 논쟁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3월 부스터샷을 접종하고 있다. 연합뉴스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3월 부스터샷을 접종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4차 백신 접종(2차 부스터샷)을 이미 마친 것으로 알려져 현재 미국을 휩쓸고 있는 오미크론 하위변이 BA.5의 면역 회피성과 전염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바이든 대통령의 이번 감염은 강력한 코로나 백신이 과학자들이 그토록 원했던 '방탄 방패'와는 거리가 멀다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준다"며 BA.5의 위력을 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금까지 화이자 백신을 맞았으며 가장 최근 접종은 올해 3월 30일 2차 부스터샷이다. 4번째 주사를 맞은 지 6개월이 채 경과하지 않은 셈이다.

화이자 백신은 중증 예방에 대해 '강력한 방호벽'을 갖는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는데, 실제로 백악관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양성 판정을 받은 후 지금까지 가벼운 증상만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무려 4차 주사를 맞았는데도 불구하고 감염에 대해서는 거의 방어가 되지 않는다는 점에 NYT는 주목했다.

가장 최근 나온 변이 BA.5 등에 대해 기존 백신이 제공하는 보호 효과가 급격하게 떨어지고 있으며, 바이든 대통령이 4개월 전 맞은 부스터샷은 이제 감염 예방력은 대부분 상실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앞서 2020년 3월 코로나19가 팬데믹으로 선언되고 그해 말 백신이 처음 나왔을 때 전문가들은 백신이 중증과 사망 뿐만 아니라 감염도 충분히 예방할 수 있을 거라고 봤다. 그러나 그런 믿음은 지난해 여름을 강타한 델타 등 초기 변이주까지만 유효했던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코로나바이러스는 이제 이 같은 면역력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초기에 나온 오미크론(B.1.1.529)은 점차 변이에 변이를 거듭하고 있다. 이미 지난해 겨울 급격한 유행과 함께 오미크론이 BA.1로 분류되기 시작한 단계부터 부스터샷을 맞은 사람들에게도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오미크론 하위변이의 면역회피성은 후속 변이가 나올 수록 더 강력해지고 있다. 현재 미국 확진 건수의 약 8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BA.5는 지금껏 나온 변이 중 가장 강력한 면역회피성을 보이고 있다. 카타르에서 수집한 데이터에 따르면 이전 감염과 백신으로 획득한 면역력은 다른 앞선 변이주 대비 BA.5에서 가장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BA.5는 전염력 또한 강한데, BA.5 유행과 함께 미국은 현재 하루 평균 약 13만 명 안팎의 확진 건수를 기록 중이다. 이제 미국은 대부분 자가검진을 하거나 증상이 있어도 검진을 받지 않기 때문에, 실제 감염자 수는 더 많을 가능성이 높다.

아직까지는 BA.5가 다른 오미크론 하위 계통 변이 대비 더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이지만, BA.5가 우세종으로 자리 잡은 지난 몇 주간 입원 건수도 급증하고 있다.

지금까지 코로나바이러스의 변이 단계를 고려할 때 기존에 나온 백신으로 올가을 추가 접종을 실시해도 될 지를 두고는 미 당국 내에서도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미 식품의약국(FDA) 자문위원회는 지난달 말 BA.5와 BA.4를 겨냥한 최신 개량 백신을 맞아야 한다고 결론낸 바 있다. 이에 미 보건당국은 화이자와 모더나 등 제약사에 올 가을까지 개량 백신을 출시해달라고 주문한 상황이다.

문제는 개량백신이 올가을 예상되는 감염 급증을 막기 위해 제때 출시될 수 있을지, 이미 그 때는 바이러스가 또 한번 진화해 개량백신을 회피하지는 않을지 불확실하다는 점이라고 NYT는 지적했다.

윤진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