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우영우 변호사, 월 1200만원 받나요"…현실에서는 얼마





자폐 스펙트럼 변호사의 성장을 다룬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인기에 인터넷에서는 주인공 우영우의 예상 월급을 추측하는 글이 화제에 올랐다.



서울대 로스쿨을 수석 졸업한 우영우가 다니는 로펌 '한바다'가 업계 정상을 노리는 2위에 해당한다는 설정을 국내 실제 로펌업계에 대입하면 신입 변호사인 우영우의 월급은 세전 1200만원 이상일 것이라는 추정이다. 그렇다면 현실속 장애인들의 임금은 어느 정도 수준일까.

24일 한국장애인개발원의 '2021 장애인통계연보'에 따르면, 2020년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평균 임금(최근 3개월간 월평균)은 197만1000원으로, 전체인구 임금근로자의 임금(268만1000원)의 70% 정도에 머문다. 관리자나 전문가인 장애인의 임금은 281만8000원으로 전체 장애인 임금근로자보다 84만7000원 많다.

장애인에게는 취업 자체가 높은 벽이다. 2020년 15세 이상 장애인구 256만2873명 중 경제활동인구는 94만9047명이고, 이 가운데 취업자는 89만3392명이다. 장애인구의 경제활동참가율은 37.0%, 고용률은 34.9%로, 전체 인구 경제활동참가율(63.0%), 고용률(60.2%)의 절반 수준이다.



우영우처럼 대졸 이상 고학력을 가진 장애인의 고용률은 60.3%로 높지만, 전체 인구 중 대졸 이상의 고용률(73.9%)에는 못 미친다. 대졸 이상 교육을 받은 장애인의 비율도 13.3%로, 전체 인구의 대졸 이상 학력자가 39.0%인 것과 대비된다. 장애인 취업자의 직업은 단순 노무 종사자가 27.8%로 가장 많다. 우영우의 직업인 변호사를 포함하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의 비율은 9.2%다.

관련기사



통계청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등의 통계 자료를 토대로 한 장애인통계연보와 달리, 장애인 대상 패널조사로 이뤄진 한국장애인개발원의 '장애인의 삶' 보고서를 보면 자폐인의 교육·직업 현황을 더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5000여명의 장애인이 패널로 참가한 2020 장애인의 삶 조사에서 임금소득자인 장애인 중 월 500만원 이상 고소득을 올리는 경우는 100명 중 3∼4명 수준(3.7%)으로 극히 적었다. 임금소득자인 장애인의 월평균 소득은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인 경우가 37.6%로 가장 많았다.

지적·자폐성 장애인 가운데서는 월 400만원 이상 받는다고 답한 사례가 전혀 없었다. 46.8%는 월 100만원 미만, 44.5%는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의 71.3%는 '나는 장애로 인해 가질 수 있는 직업이 제한된다'고 답했으며, 지적·자폐성 장애인은 87.7%가 그렇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드라마 속 우영우는 경증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장애인개발원 관계자는 "보건복지부에 장애인으로 등록된 자폐에서는 경증이 거의 없고 대부분 장애가 심한 경우"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우영우가 장애인 중에서만 특별한 존재인 것은 아니다. 수석 졸업 타이틀을 달고 변호사가 돼서 1000만원 이상의 월급을 받는 사람은 장애인뿐 아니라 비장애인 사이에서도 극히 드문 일이라고 이 관계자는 말했다.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