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해외증시

월마트 실적 하향 조정 여파 … 다우 0.71%[데일리국제금융시장]

S&P -1.15%↓, 나스닥 -1.87%↓

생필품 빼고 안팔려…'월마트 만의 문제 아니다'

아마존, 타겟, 코스트코 등 줄줄이 하락





미국의 1위 판매점이자 최대 고용기업인 월마트의 실적 전망 하향 조정 소식에 미국의 주요 증시가 일제히 하락했다.

26일(현지 시간) 미 경제 방송 CNBC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가 전날보다 228.50포인트(-0.71%) 떨어진 3만1761.54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45.79포인트(-1.15%) 내린 3921.05를 기록했으며 나스닥은 220.09포인트(-1.87%) 떨어진 1만1,562.58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 발표한 월마트의 실적 하향 조정의 여파가 생각보다 컸다. 전날 월마트는 올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보다 13∼14%, 올해 전체 영업이익은 지난해보다 11∼13% 각각 하락할 것이라는 예상치를 내놓았다. 올 5월만 해도 2분기 영업이익이 1년 전과 비슷하거나 소폭 증가하고 연간 영업이익도 1%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던 데서 눈높이를 크게 낮췄다. 더그 맥밀런 월마트 최고경영자(CEO)는 “식료품과 연료 가격 상승률이 소비자들의 지출 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내구재 판매에서는 진전을 이뤘지만 월마트 의류는 추가 할인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시장에서 주목하는 부분은 맥밀런 CEO의 발언 중 품목별 판매 추이에 관한 부분이다. 업홀딩스의 로버트 캔트웰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월마트 발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인플레이션이 소비자들의 구매 품목을 어떻게 바꾸고 있느냐는 부분”이라며 “개인 지출 중에 먹을거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는 반면 전체 지출은 커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인플레이션에 물가가 오르면서 소비자들이 제한된 예산 내에서 식품 등 생필품 만을 소비하고 의류를 비롯한 다른 비필수 품목은 구매를 줄인다는 의미다. 월마트만의 문제가 아니라 다른 소매판매점 모두 직면한 문제일 수밖에 없다.

이에 이날 월마트가 7.6%하락 했으며 콜스가 9.1%, 타겟이 3.6%하락했다. 코스트코와 홀세일도 2.69%, 2.80% 주가가 떨어졌다. 노드스트롬과 로스역시 각각 5% 이상 하락했다. 온라인 중심의 리테일러인 아마존 역시 6.2% 떨어지며 하락을 면치 못했다.

소매 판매를 제외한 나머지 섹터는 기업의 실적과 상황에 따라 등락이 엇갈렸다. 코카콜라는 판매량이 회복되고 수익이 기대치를 넘어섰다는 발표에 1.6% 올랐고, 맥도날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매장 패쇄로 인한 타격에도 불구하고 다른 지역의 매출 확대레 따라 2.7% 올랐다. 3M은 수익 추정치를 넘는 수익을 기록하며 4.9% 상승했다.

시장은 이날 개막해 이튿날 결과가 나올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메시지에 주목하고 있다. 스테파니 랑 홈리치버그의 최고 투자 책임자는 “연준이 금리를 얼마만큼 올리든 경제에 타격이 온다는 점은 바닥에 깔고 가야한다”며 “6개 월 내에 투자자들은 빡빡한 금융 환경에 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