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사우디 왕세자, 카슈끄지 사건 이후 첫 유럽 방문…'국제 왕따' 탈피 시동

무함마드 왕세자, 그리스·프랑스 방문

"우리에겐 '게임 체인저' 있다" 자신감

26일(현지시간)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왼쪽)과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그리스 총리가 회담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26일(현지시간)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왼쪽)과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그리스 총리가 회담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사우디아라비아의 실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그리스와 프랑스를 방문하는 유럽 순방에 나섰다. 2018년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암살 사건 이후 처음으로 유럽 땅을 밟는 것으로, 무함마드 왕세자가 최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만난 것을 계기로 국제적 고립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26일(현지시간) 사우디 국영 SPA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무함마드 왕세자는 이날 전용기를 타고 그리스에 도착했다. 무함마드 왕세자와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그리스 총리는 회담을 갖고 양국 간 전략 파트너십 협의회 설립에 합의했다. 이밖에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그리스를 거쳐 유럽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에너지·스포츠·보건·군사·농업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무함마드 왕세자는 회담에서 "나는 그리스에 절대 빈 손으로 오지 않았다"며 "우리는 사우디 아라비아와 그리스는 물론 많은 지역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게임 체인저'를 갖고 있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사우디 아라비아가 풍부한 석유 자원을 토대로 많은 국가들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무함마드 왕세자는 그리스 방문을 마친 후 프랑스로 이동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을 만날 예정이다. 이미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사우디를 방문한 바 있다. 2018년 사우디의 반체제 언론인이자 워싱턴포스트(WP) 칼럼니스트이던 자말 카슈끄지가 이스탄불 주재 사우디 총영사관에서 사우디 요원들에 의해 살해당한 후 무함마드 왕세자를 만난 서방 정상은 마크롱 대통령이 처음이다.

외신들은 무함마드 왕세자가 2주 전 바이든 대통령과의 만남 이후 본격적으로 국제적 고립에서 탈피하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카슈끄지 암살 사건 이후 사우디와 미국의 관계는 급격히 경색됐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이후 사우디를 국제적 '왕따'로 만들겠다는 공언까지 했다.

상황을 바꾼 것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치솟은 인플레이션과 유가다. 미국 입장에선 유가를 낮추기 위해 석유 대국인 사우디의 증산이 절실해졌다. 이에 바이든 대통령은 일각의 비판을 무릅쓰고 이달 아랍권 다자 정상회의 참석을 명분으로 사우디를 방문했고, 미국이 사실상 사우디에게 면죄부를 준 것이라는 해석이 잇따랐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무함마드 왕세자의 이번 유럽 방문에 대해 "서방 국가들이 유가를 진정시키기 위해 사우디와의 관계 개선에 나섰다는 신호"라고 평가했다.


김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