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서울 도심에 UAM 띄우려… 국토부-국방부 손잡았다

국방부, 드론 최대 수요처… 시장 활성화 기대

어명소(왼쪽) 국토교통부 2차관과 신범철 국방부 차관이 27일 서울 용산 육군회관에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있다. 사진 제공=국토교통부어명소(왼쪽) 국토교통부 2차관과 신범철 국방부 차관이 27일 서울 용산 육군회관에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있다. 사진 제공=국토교통부




2025년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를 위해 국토교통부와 국방부가 손을 잡았다. 국방부는 드론 산업의 최대 수요처로 꼽힌다.



국토부와 국방부는 27일 서울 용산 육군회관에서 어명소 국토부 2차관과 신범철 국방부 차관이 참석한 가운데 드론·UAM 산업 발전 및 과학기술 강군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민군 기술 개발·교류, 시장 활성화, 시험·실증 참여, 공역 및 기반시설 공동 사용 등 양측의 협력 필요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협약에는 한국형 UAM 및 드론 체계 발전과 혁신 성장을 위해 양 부처가 협력하자는 내용이 담겼다. 국내 UAM 및 드론 산업의 성장 동력 확보와 대중 수용성 확대를 위한 상호 협력, UAM·K-드론 시스템 및 국방 수송 드론과 통합 관제 체계의 개발·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 공역 사용, 수요 창출 등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국토부와 국방부는 드론 전용 비행 시험장 및 비행 인증·교육시설 기반 시설 활용에 대한 협력과 UAM·드론에 적용되는 인공지능, 디지털 트윈 등 신기술 실증 사업 참여 및 기술교류 협력도 공동 추진한다.

국토부가 추진하는 드론 산업 발전과 한국형 UAM 상용화를 위한 핵심 기술 개발 등은 국방 분야 드론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드론 산업의 최대 수요처인 국방부는 초기 시장 활성화를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어 차관은 “기술 개발에 수요자 중심의 규제 정비도 병행돼야 시너지를 낼 수 있다”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부처 간 협력을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신 차관은 “드론과 UAM 등 첨단기술을 신속히 군에 적용하고, 민간기술의 실증과 확산에도 크게 기여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세종=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