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평택시 수소도시로 성큼 다가서' …자체적으로 수소생산 시작

전국 최초 중·대규모 수소생산시설 완공…수도권에 안정적인 수소 공급 기대

김동연 경기도지사,“기후위기 대응…수소경제 대중화에 최선 다할 것”

정장선 시장 "평택항 일대를 세계적인 수소도시로 조성해 나가겠다"





평택시가 전국 최초로 수소를 ‘자급자족’하는 수소도시로 첫 발을 내딛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7일 평택시 포승읍 원정리(아산국가산업단지 원정지구)에서 열린 평택 수소생산시설 준공식에 참석해 “우리가 극복해야 할 미래 도전과제 가운데 하나가 기후 변화”라며 “평택 수소생산시설이 수소경제 대중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평택 수소생산시설은) 하루 7t 이상의 수소를 생산하면서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수소 생산 기지가 될 것”이라며 “탄소 중립 시대를 맞아 평택 수소생산시설이 핵심 에너지원 역할을 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덧붙였다



평택 수소생산시설은 2019년 12월 산업통상자원부 공모사업으로 선정되어 국·도비 79억, 시비 70억, 민간 81억 등 모두 23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됐으며, 1일 최대 7톤, 연간 약 2450톤의 수소를 생산하는 시설로 공공에서 추진하는 사업 중에서는 국내 최대 규모이다.

관련기사



이곳에서는 평택 LNG 인수기지에서 공급받은 천연가스를 개질(천연가스를 뜨거운 수증기로 열분해해서 수소를 만드는 공정)해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이르면 다음 달부터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이는 하루 1,200여 대(연간 약 41만 대) 수소차를 완충할 수 있는 양으로 국내 최대규모다.

현재 수도권에서 운영 중인 수소충전소는 33개소(경기 20개소, 서울 7개소, 인천 6개소) 대부분이 평균 120km 이상 떨어진 대산, 울산, 여수 등 원거리에서 수소를 공급받고 있다. 이번 준공으로 수소 운송비용이 많이 줄어들면서 수도권 수소 공급 가격도 인하될 것으로 도는 기대하고 있다.

또 이곳에서 생산되는 수소는 지역 내에 저렴하게 공급해 평택항 일대의 화석연료(트럭, 항만 모빌리티, 선박, 기차 등)를 수소에너지 기반으로 교체하고 더 나아가 배후도시와 산업단지의 에너지원을 수소로 바꾸어 실질적인 탄소중립을 이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행사에는 박일준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 정장선 평택시장, 문재도 H2KOREA(수소융합얼라이언스. 수소 보급활성화를 위한 민관협의체) 회장, 유승경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장, 조용돈 한국가스기술공사 사장, 김재수 평택도시공사 사장, 박형덕 한국서부발전 사장, 조혜영 한국산업단지공단 부이사장 등 관련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김 지사는 준공식에 이어 관련기관 관계자들과 생산시설을 견학했다.

정장선 평택 시장은 “지난 4년간 수소도시 조성을 위해 노력해온 첫 결실”이라며, “이를 시작으로 평택항 일대를 세계적인 수소도시로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