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첫 국회 출석' 박순애 자녀 입시·논문표절 의혹 추궁

野, 대정부질문서 박순애 사실상 인사청문회

논문 중복게재에 "당시, 지금 연구윤리 달라"

"국민 우려알아…객관·융합적 시각이 강점"

박순애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7일 국회에서 열린 교육·사회·문화 대정부질문에서 답변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박순애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7일 국회에서 열린 교육·사회·문화 대정부질문에서 답변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




27일 처음 국회를 찾은 박순애 교육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음주운전, 논문 표절, 자녀 입시 의혹에 대해 집중 추궁을 받았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국회 본회의에서 열린 대정부 질문에서 원 구성 협상 지연으로 인사청문회 없이 임명된 박 부총리를 향해 공세를 펼쳤다.

서동용 민주당 의원은 박 부총리에 대해 “후보자 시절 자료를 제대로 내지 않아 검증이 제대로 안 됐다”며 “대정부질문은 시작에 불과하다. 향후 교육위원회에서 철저한 검증을 거쳐야 한다”고 밝혔다.

서 의원은 박 부총리의 쌍둥이 아들이 입시 컨설팅 학원에서 생활기록부 첨삭을 받았다는 의혹을 따져 물었다. 그는 “학생부 입력과 정정은 오로지 담당 교사만이 할 수 있다”며 “학생이나 학부모로부터 내용을 받아서 입력하는 것은 허위 사실 기재”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박 부총리는 “어떤 입시 컨설팅 학원인지 이야기를 듣지 못했다. 많이 바빠 자녀들 학원 다니는 걸 잘 못 챙겼다”고 해명했다.

관련기사



자녀의 생활기록부를 제출할 의향이 있냐는 질의에는 “이미 성인이 됐다. 민감한 개인정보를 성인의 동의 없이 제가 제출하는 건 아닌 것 같다”며 제출이 사실상 어렵다고 밝혔다.

논문 표절 등 연구윤리 위반 의혹에 대해선 “연구 윤리가 정립되기 이전 사안”이라고 했다. 논문 중복 게재 의혹을 두고도 “지금 연구윤리 기준에 맞춰보면 어긋날 수 있지만, 당시에는 박사 학위 받은 분들이 박사학위 논문을 저널에 내곤 했었다”고 당시 관행에 비춰 큰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언론에서 보는 시각과 학자들이 보는 시각은 조금 다르다 ”며 “학술대회에 나가서 발표를 했던 것은 보통 ‘워킹페이퍼’·‘메뉴스크립트’라고 이야기를 하고, 저널에 실렸을 때 ‘아티클’이라는 논문의 형태가 된다. 그래서 중복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설명했다.

서 의원 이후 한덕수 총리를 소환해 “부총리는 제기된 의혹에 대해 해명할 생각이 없어 보인다. 윤석열 정부의 책임총리로서 어떻게 책임지겠느냐”고 따졌다.

이에 한 총리는 “본인의 해명이 첫 번째로 제기돼야 하고, 의원님들이 생각하시는 반론들이 논의돼야 한다”며 “박 부총리를 교육부 장관으로 지명하고 절차를 밟은 것은 교육부가 해야하는 여러가지 과제들을 봤을 때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박 부총리는 ‘교육부 장관으로 본인이 적격이라고 생각하느냐’는 국민의힘 최형두 의원에 질문에 “국민들이 보시기에 여러가지 우려가 있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교육자로서 20년 이상 대학에 있으면서 후학 양성과 연구를 해왔고 교육을 포함해 공공정책에 대한 깊은 고민과 성찰을 해왔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퍼펙트스톰에서 우리가 필요한 것은 지금까지 전통적 사고에서 벗어나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이라며 “외부자적 시각에서 교육의 다양한 이해관계에서 중립적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고, 사회 다양한 현안에 대해서도 객관적이고 융합적인 시각을 제공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고 자평했다.


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