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근무 중 간호사 사망' 서울아산병원 논란 일파만파…복지부 진상조사 나서나

'의사 없어 전원' 블라인드 게시글 통해 공론화

의혹 커지자 국회서도 진상조사 요구 나와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2차관이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이기일 보건복지부 제2차관이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서울아산병원 간호사가 근무 중 뇌출혈로 쓰러진 뒤 끝내 사망한 사건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파만파 확산하고 있다. 국회에서도 관련 사건이 언급되면서 보건복지부가 진상조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2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근무 중 뇌출혈로 쓰러져 사망한 서울아산병원 간호사에 대해 언급하며 복지부에 진상조사를 요구했다.

해당 사건은 일요일 새벽인 지난달 24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서울아산병원에서 근무하던 간호사 A씨는 뇌출혈로 쓰러져 원내 응급실로 옮겨져 색전술 등 응급처치를 받았다. 긴급 수술이 필요한 상황이었지만 당시 원내에는 수술 가능한 인력이 없었다. 결국 A씨는 서울대병원으로 전원 조치됐지만 숨졌다.



해당 사건은 지난달 31일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게시글이 올라오며 알려졌다. 서울아산병원 근무자라고 밝힌 작성자는 "당시 서울아산병원 대부분 의사들이 학회에 참석해 당직자를 제외하고 수술 인력이 없었다"며 "국내 최고 병원이 응급 수술을 못 해 직원의 안전을 지켜주지 못했다"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서 의원은 이기일 보건복지부 2차관을 향해 “보건 책임자로서 이런 일 있는 것을 알고 있느냐"며 "상급종합병원 중에서도 최대 규모라는 서울아산병원의 의료환경이 이 지경이라는 게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느냐"고 날선 질문을 던졌다. 이어 "보건의료 현실이 이렇다는 것을 국민들이 어떻게 납득하겠는가, 이 문제에 대해 제대로 진상조사를 해서 보고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이 차관은 "(해당 사건을) 알고 있다"며 "조사를 실시하고 별도로 보고하겠다”는 답변을 내놨다.

해당 사건이 공론화되자 간호계와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진상조사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대한간호협회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고인의 갑작스런 사망소식에 대한 공식적이고 책임있는 입장 표명이 없어 여러 의혹과 주장들이 있는 것에 대해 깊이 우려하고 있다”면서 “서울아산병원은 철저한 진상조사를 통해 사실을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이번 사고가 우리나라 의사 부족 문제의 심각성을 일깨워 준 중대한 사건이자 예견된 일이었다는 게 간호협회 측의 지적이다.

시민단체인 '간호와 돌봄을 바꾸는 시민행동'도 성명을 통해 진상조사위원회 구성을 촉구하고 나섰다. 단체는 "이번 사건은 명백히 중대재해처벌법을 위반한 사건"이라며 "진상조사위를 구성해 철저한 조사와 책임자 처벌, 재발방지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병원 측은 원내에서 가능한 조치를 취했고 전원이 불가피했다는 입장이다. 서울아산병원 관계자는 "함께 일했던 동료이자 직원이 회복하지 못해서 너무 안타깝다"며 "병원 내에서 응급 치료를 위한 색전술 등 다양한 의학적 시도를 했지만 불가피하게 전원할 수 밖에 없었던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응급시스템을 재점검해 직원과 환자 안전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고도 덧붙였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