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동훈, ‘채널A 사건’ 휴대전화 돌려받아…재항고 진행 중

지난 4월 무혐의 처분과 함께 환부

고발 시민단체는 결과 불복 재항고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때 검언유착 의혹을 불러일으켰던 이른바 ‘채널A 사건’의 결정적 증거로 지목됐던 한동훈 법무부 장관의 휴대전화가 주인에게 돌아갔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는 강요미수 혐의로 고발된 한 장관을 지난 4월 무혐의 처분 하면서 수사 과정에서 압수한 휴대전화를 환부하기로 결정했다.



한 장관의 휴대전화는 이동재 전 채널A 기자와 한 장관의 공모 여부 파악을 위한 핵심 증거로 꼽혀왔다. 검찰은 압수수색으로 한 장관의 휴대전화를 확보했지만, 비밀번호를 풀지 못해 안에 담긴 정보들은 확인하지 못했다.

관련기사



수사팀은 이후 한 장관의 혐의를 입증할 증거가 부족하다며 지휘부에 여러 차례 무혐의 처분 의견을 냈지만, 이성윤 당시 서울중앙지검장은 사건 처분 이전에 휴대전화 포렌식이 필요하다며 사건 처리를 미뤘다. 수사 착수 후 상당 시일이 지난 뒤에도 비밀번호 해제에 진전이 없자 추미애 당시 법무부 장관은 비밀번호 제출을 거부하는 피의자를 처벌하는 법안 제정을 검토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2년간 제자리걸음을 하던 검찰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 이후 “확립된 공모공동정범에 관한 법리, 증거 관계상 공모를 인정할 증거가 없어 혐의없음 처분한다”며 한 장관을 무혐의 처분했다. 휴대전화 포렌식과 관련해선 “2020년 6월 최초 시도 이후 22개월, 지난해 7월 재시도 이후 약 8개월이 지난 현시점에서 현재 기술력으로는 휴대전화 잠금 해제 시도가 실효성이 없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한 장관을 고발했던 민주언론시민연합(민언련)이 검찰의 무혐의 처분에 불복해 항고에 재항고까지 한 상태여서 한 장관 휴대전화를 일찌감치 환부한 건 성급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검찰 압수물 사무 규칙에 따르면 검사는 불기소처분된 고소·고발사건에 관한 압수물 중 중요한 증거가치가 있는 압수물은 그 사건에 대한 검찰항고 또는 재정신청 절차가 종료된 후에 환부해야 한다.

다만 이 사건에서 휴대전화를 '중요 증거'라고 볼 수 없다는 분석도 있다. 2년간 검찰이 휴대전화 비밀번호를 해제하려고 시도했음에도 결국 실패한 만큼 항고장이 들어와 재수사하더라도 ‘사정 변경’이 생길 가능성은 사실상 없기 때문이다.


천민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