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 '수요응답형 버스 사업' 확대 추진…수원 등 7개 시군 예비 대상지로 선정

지난해 12월부터 파주 운정신도시서 시범 운행…이용자 79% “서비스 만족”

경기도청 북부청사 전경경기도청 북부청사 전경




경기도는 지난해 12월부터 시범적으로 시행해오던 수요응답형 버스(DRT)를 확대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수요응답형 버스는 고정된 노선과 정해진 운행계획표 없이 승객의 호출에 대응해 탄력적으로 승객을 수송하는 신개념 교통서비스로, 민선 8기 공약사항 중 하나다. 특히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실제 승객 수요에 맞춰 실시간으로 최적의 이동 경로를 생성해 운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는 2·3기 신도시나 농어촌 지역 등 기존 교통체계로는 교통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DRT 도입을 검토해 오고 있다. 지난해 12월부터 파주 운정1·2·3지구와 교하지구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했으며 현재까지 13만여 명이 이용하는 등 지역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응답자의 79%가 ‘만족한다’는 답변을 내놨다.

관련기사



이에 도는 사업 확대를 위해 올 1월부터 시군 현장실사를 진행, 도입에 적극적인 수원·양주·고양·하남·평택·안산·화성 등 7개 시·군을 예비 대상지로 선정한 후 5월 말 DRT 운행을 위한 규제샌드박스 신청을 진행했다. 이는 현재 ‘여객자동차법’ 상 DRT 사업은 농·어촌 지역 또는 대중교통 부족 지역에서만 운행할 수 있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는 신도시 등에서는 규제샌드박스 신청을 통한 규제 특례 적용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도는 올 하반기 규제샌드박스를 신청한 7개 시·군에 대해 국토교통부 승인이 이뤄지는대로 DRT 도입을 우선 추진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도는 오는 19일까지 도내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2022~2023년 DRT 사업 대상지 수요조사’도 추진한다.

도는 올 하반기 중 사업 대상지 심사위원회를 거쳐 참여 의사를 밝힌 시군 중 DRT 운행에 적합한 지역을 선정, 사업 확대를 추진할 방침이다. 박노극 도 교통국장은 “현재 도민들은 서울로의 출·퇴근뿐 아니라 지역 내 이동에도 버스 부족 등의 이유로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면서 “DRT 사업 확대를 통해 도민들이 언제 어디서나 쉽고 자유롭게 원하는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