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韓 “北대화에 역할”·中 “외부영향 경계”… ‘전략적 협력동반자’엔 한목소리

칭다오서 열린 한중외교장관회의

박진 “최고위급 전략적 소통 강화”

왕이 “공급망 수호·내정간섭 말아야”

박진(왼쪽) 외교부 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9일(현지 시간) 중국 산둥성 칭다오 지모고성군란호텔에서 열린 한중 외교장관회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외교부박진(왼쪽) 외교부 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9일(현지 시간) 중국 산둥성 칭다오 지모고성군란호텔에서 열린 한중 외교장관회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외교부





취임 이후 처음이자 윤석열 정부 첫 고위급 인사로서 중국을 방문한 박진 외교부 장관이 9일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중국 산둥성 칭다오에서 회담했다.

관련기사



왕 부장은 이날 칭다오 지모고성군란호텔에서 열린 한중 외교장관회담 모두발언을 통해 “(한중은) 윈윈을 견지해 안정적이고 원활한 공급망과 산업망을 수호해야 한다”며 “평등과 존중을 견지해 서로의 내정에 간섭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 의장의 대만 방문으로 악화한 양안 관계를 의식한 발언으로 보인다. 왕 부장은 또 “전략적 협력 동반자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진전 발전할 수 있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박 장관도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서 최고위급의 전략적 소통을 강화해나가야 한다”고 약속했다. 그는 북한 비핵화에 중국의 역할을 주문하기도 했다. 박 장관은 “북한이 도발 대신 대화를 선택하도록 중국이 건설적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한다”고 덧붙였다.

미국 주도의 반도체 공급망 협의체인 칩4와 사드 3불, 북핵 문제 등 산적한 한중 간 현안들이 회담 의제에 올라 양국의 외교전은 치열하게 전개됐다. 중국은 “독립 자주를 견지하고 외부의 장애와 영향을 받지 말아야 한다”며 대미 외교에 무게를 둔 한국 정부를 우회적으로 압박했지만 ‘전략적 협력 동반자’라는 관계 발전에는 기대를 걸었다. 이날 회담은 양국의 이해관계 조정에 예정된 시간보다 2시간여가 더 걸렸다.


송종호 기자·박경은 기자·중국 칭다오=공동취재단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