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푸틴發 가스대란…'에너지 무기화' 속수무책

우크라 침공 후 공급량 80%↓

㎿h당 224유로…반년새 2배

獨 "밸브 잠기면 석달 못버텨"

독일 루브민에 있는 노르트스트림1 파이프라인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독일 루브민에 있는 노르트스트림1 파이프라인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러시아가 유럽행 가스 공급을 종전의 5분의 1로 확 줄인 영향으로 유럽 가스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유럽 최대 경제국인 독일은 러시아가 완전히 가스 밸브를 잠글 경우 3개월도 채 버티지 못할 것이라는 자체 전망을 내놓을 정도로 절대적인 가스 공급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이런 유럽에 물량을 몰아주는 미국에서도 공급난 우려로 가스 값이 급등하기 시작하는 등 러시아발(發) 위기로 국제 가스 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16일(현지 시간) 영국 ICE 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네덜란드 TTF 가격은 ㎿h(메가와트시)당 223.75유로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인 2월 23일(㎿h당 87.5유로) 대비 2.5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네덜란드 TTF 가격은 지난달 러시아 국영 가스프롬이 노르트스트림1 가스관을 통해 유럽으로 공급하는 가스를 종전의 40% 수준으로 줄이면서 연일 급등하고 있다. 현재 노르트스트림1을 통한 가스 공급량은 종전의 20%까지 줄어든 상태다. 독일 에너지 당국인 연방네트워크청(FNA)의 클라우스 뮐러 청장은 이날 “러시아가 가스 공급을 완전히 중단하면 현재 비축량으로 길어야 2개월 반 정도밖에 버티지 못할 것”이라는 암울한 자체 전망을 내놓았다.

관련기사





가계의 부담도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독일에서는 정부가 10월부터 기업과 가정에 가스 사용 부담금을 추가로 부과하기로 하면서 4인 가구 기준 연간 484유로(약 65만 원)를 더 부담해야 한다. 영국은 가구당 에너지 요금 상한선이 기존 1971파운드에서 10월에는 3582파운드(약 568만 원)로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도 안심할 수 없게 됐다. 미국 헨리허브 천연가스 가격은 이날 MMbtu당 9.3달러로 2월의 4달러대에서 2배나 상승했다. 전쟁 발발 이후 액화천연가스(LNG) 수출 물량의 70% 이상을 유럽으로 보내느라 정작 자국 내 공급 우려가 커진 탓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유럽 가스 위기가 ‘셰일가스 혁명’으로 15년간 이어진 미국의 ‘가스 풍요’ 시대를 위협하고 있다”고 짚었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