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광화문·강남역에 폭우 대비 '빗물터널' 만든다

환경부 '도심침수·하천홍수 방지대책'

예타 면제로 내년부터 설계 착수

윤석열 대통령이 9일 서울 관악구 신림동 침수 피해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이 반지하 주택에서는 발달장애 가족이 지난밤 폭우로 인한 침수로 고립돼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이 9일 서울 관악구 신림동 침수 피해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이 반지하 주택에서는 발달장애 가족이 지난밤 폭우로 인한 침수로 고립돼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연합뉴스




이달 초 집중호우의 피해가 극심했던 서울 강남역과 광화문 일대에 대심도빗물터널이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로 추진된다. 도시침수·하천범람을 방지하는 도림천 지하 방수로도 예타면제로 내년부터 설계에 착수한다.

환경부는 23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도시 침수 및 하천 홍수 방지 대책’을 내놓고 총사업비 1조 4919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우선 도시 침수 인프라 개선을 위해 서울시가 추진 중인 강남역과 광화문 빗물터널에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한다. 사업비는 각각 2500억 원과 3500억 원으로 추산된다. 저류시설이 마련되면 광화문과 강남역 일대는 각각 시간당 100㎜와 시간당 110㎜ 폭우에도 견딜 수 있게 된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관련기사



정부는 또 도림천과 대방천 지하 방수로 건설에도 국비를 투입한다. 각각 보라매공원과 장승배기역에서 샛강까지로 이어지는 지하 방수로로 추산 사업비는 3000억 원이다. 방수로가 건설되면 시간당 100㎜ 비에도 홍수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로 광화문·강남역 저류시설과 도림천·대방천 방수로 건설 사업을 신속히 추진해 내년 설계를 시작하고 2027년에 완공시킨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이들 사업의 4분의 1인 2250억 원이 국비로 투입된다.

8일 밤 서울 강남구 신사역 일대 도로가 물에 잠겨 있다. 연합뉴스8일 밤 서울 강남구 신사역 일대 도로가 물에 잠겨 있다. 연합뉴스


환경부는 이날 대책에서 내년 상반기 하수도법을 고쳐 상습침수구역 빗물받이 청소와 하수관로 상시 준설을 지자체 의무로 규정하겠다고 밝혔다. 또 하천수위·강우량·기상예측자료 등을 빅데이터로 삼고 인공지능(AI)을 활용한 ‘AI홍수예보’를 만들어 내년 홍수기 전까지 도림천에 시범 구축한다.


세종=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