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구독과 좋아요, 알림 설정까지…" 간송미술관 유튜브 채널 론칭

샌드박스와 협업 '미덕생활' 공개

문화재 콘텐츠에 재미·유익함 더해

간송미술관의 소장품을 콘텐츠로 샌드박스와 간송미술문화재단이 공동 제작하는 유튜브채널 '미덕생활'의 홍보용 이미지. /사진제공=간송미술문화재단간송미술관의 소장품을 콘텐츠로 샌드박스와 간송미술문화재단이 공동 제작하는 유튜브채널 '미덕생활'의 홍보용 이미지. /사진제공=간송미술문화재단




간송미술관이 소장 문화재를 콘텐츠로 한 유튜브 채널에 도전한다.

샌드박스네트워크는 26일 “간송미술관의 소장품들을 중심으로 한국 예술의 숨겨진 비하인드 스토리를 보다 힙하고 즐겁게 알리기 위해 간송미술문화재단과 함께 협업 채널 ‘미덕생활’을 론칭했다”고 밝혔다.



간송미술관은 일제강점기에 사재를 털어 해외 반출 위기의 우리 문화재를 사들여 ‘문화 독립운동’을 실천한 간송 전형필(1906~1962)의 수집품을 기반으로 1938년에 개관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사립 미술관이다. 성북동 보화각을 기반으로 매년 봄가을 기획전을 통해 한시적이지만 무료로 소장품을 공개 전시해 온 간송미술관은 2013년 간송미술문화재단을 설립했고 이듬해부터 5년간은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현대화한 소장품 기획전을 선보였다.

관련기사



2020년 5월 개관 이래 처음으로 소장품이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인 불상들을 경매에 내놓아 유찰됐고 이후 ‘국보’까지 경매에 내놓는 등 파란과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국보 ‘금동삼존불감’을 암호화폐 투자자들의 모임인 ‘헤리티지 다오(DAO)’에 판매하고 소유권의 51%를 기부받기도 했다. 간송미술관은 시대적 변화를 수용한 지속적 변신을 시도 중인데 소장품 국보 ‘훈민정음해례본’을 대체불가토큰(NFT)으로 제작·판매한 후 다른 소장품도 NFT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번 유튜브 콘텐츠를 통해서는 향유층의 확대까지 시도하고 있다.

간송미술관의 소장품을 콘텐츠로 샌드박스와 간송미술문화재단이 공동 제작하는 유튜브채널 '미덕생활'의 홍보용 이미지. /사진제공=간송미술문화재단간송미술관의 소장품을 콘텐츠로 샌드박스와 간송미술문화재단이 공동 제작하는 유튜브채널 '미덕생활'의 홍보용 이미지. /사진제공=간송미술문화재단


‘미덕생활’의 첫 콘텐츠는 20일 ‘조선 시대 화가들이 고양이 그림을 그린 이유?’라는 제목으로 공개됐다. 샌드박스에 따르면 두 번째 콘텐츠는 신윤복의 ‘미인도’를 소재로 배우 임수정이 내레이터로 참여해 제작돼 27일 공개될 예정이다. 임수정은 3화 콘텐츠에서도 내레이터를 맡아 간송 전형필이 문화재를 지키기 위해 벌인 사투를 담을 예정이다.

샌드박스 측은 “‘미덕생활’에는 임수정 외에도 샌드박스 크리에이터 쓰복만 등 다수의 샌드박스 크리에이터들이 내레이션에 나서 한국 예술에 대해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라며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 미술관인 간송미술관은 보유한 역사가 담긴 작품들을 안방에서 만나볼 수 있는 기회와 재미에 유익함까지 더한 시간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덕생활’은 간송미술문화재단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조상인 미술전문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