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기업 48.9% “올해 타결된 임금인상률 작년보다 높아”

작년보다 낮다는 응답 4% 불과

임금 교섭 과정 26% “작년보다 어려워”

“경기 불확실성 속 노사갈등 줄일 제도 개선 필요”

최종 타결된 임금인상률과 전년 임금인상률 비교. 자료제공=전국경제인연합회최종 타결된 임금인상률과 전년 임금인상률 비교. 자료제공=전국경제인연합회




국내 대기업 약 2곳 중 한 곳은 올해 임금인상률이 작년보다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8ㅇㄹ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19일까지 매출액 상위 600대 비금융기업을 대상으로 ‘2022년 단체교섭 현황·노동 현안 조사’ 보고서를 내고 이같이 밝혔다.



올해 타결된 임금인상률이 ‘작년 임금인상률보다 높다’는 응답은 48.9%로, ‘작년보다 낮다’는 응답은 4.3%로 나타났다. ‘작년과 유사하다’는 응답은 46.8%였다.

관련기사



올해 최종 타결된 평균 임금인상률은 4.4%로 작년 인상률 3.2%보다 1.2%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임단협(임금 단체협약) 교섭 과정에 대해서는 26.0%가 '작년보다 어렵다', 16.0%가 '작년보다 원만하다'고 답했다.

노동 부문 현안 중 기업 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쟁점으로는 ‘최저임금 인상’(44.3%)과 ‘노사현안 판결’(40.5%) 등이 꼽혔다.

우리나라 파업 관행과 관련된 문제점을 묻는 항목(중복 응답 가능)에는 과도한 임금·복지 요구 관철을 위한 파업(53.4%), 불법파업 등 투쟁적 노조 문화(50.4%), 개별기업의 근로조건과 무관한 노조 상급 단체 지침에 따른 파업(30.5%) 등의 답변이 많았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글로벌 경기침체, 무역수지 적자 등으로 경기 불확실성이 커졌는데 노사갈등이 심화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대화와 타협에 기반한 노사문화 정착과 노사균형을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해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