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최고위원도 친명 일색…‘이재명 지도부’ 출범

선출직 최고위원 5명 중 4명 친명

수석 최고위원도 친명 정청래 차지

정청래·장경태, 당헌 재개정 주장 등

당내 계파 갈등 재점화 우려도

더불어민주당 대표 후보와 최고위원 후보들이 28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체조경기장에서 열린 제5차 정기 전국대의원대회에서 손을 맞잡고 있다. 장경태(왼쪽부터)·서영교·박찬대·고민정 최고위원 후보, 이재명·박용진 당 대표 후보, 고영인·정청래·송갑석 최고위원 후보. 권욱 기자더불어민주당 대표 후보와 최고위원 후보들이 28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체조경기장에서 열린 제5차 정기 전국대의원대회에서 손을 맞잡고 있다. 장경태(왼쪽부터)·서영교·박찬대·고민정 최고위원 후보, 이재명·박용진 당 대표 후보, 고영인·정청래·송갑석 최고위원 후보. 권욱 기자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도 친이재명계 인사들이 과반을 차지하며 ‘이재명 지도부’가 탄생했다. 당내 대립이 첨예했던 당헌 개정안 등을 두고 친명계에서는 최고위원 후보 때부터 재논의를 언급하는 등 갈등이 재점화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28일 민주당 전국대의원대회에서는 최고위원 5명 중 4명이 친명계 인사로 당선됐다. 전국 권리당원 누적 득표율에서 정청래·고민정 의원의 ‘2강’, 박찬대·서영교·장경태 의원의 ‘3중’ 구도를 유지해왔던 것에서 이변은 없었다.



총 득표율은 후보별로 △정청래 25.20% △고민정 19.33% △박찬대 14.20% △서영교 14.19% △장경태 12.39% △송갑석 10.81% △고영인 3.88%였다. 이는 대의원 투표 30%, 권리당원 투표 40%, 1·2차 국민여론조사 25%, 일반당원 여론조사가 5%씩 반영된 결과다.

관련기사



수석 최고위원도 대표적인 친명계인 정청래 의원이 차지했다. 정 의원과 문재인 정부 청와대 출신 고민정 의원은 전당대회 초기부터 20%가 넘는 득표율을 확보하며 당선을 확실시 한 가운데 수석 최고위원을 두고 자리다툼을 벌여왔다.

선출직 최고위원 중 남은 3자리를 두고 벌어진 접전에서도 친명계 박찬대·장경태·서영교 의원이 10%대의 득표율을 나눠 가지며 당선에 성공했다. 비명계인 송갑석 의원이 호남의 지지를 바탕으로 추격했지만 최고위 입성은 결국 좌절됐다. 송 의원은 친문계인 윤영찬 의원이 지난 22일 경선에서 중도 사퇴하고 지지를 선언하면서 친문계의 지지 효과를 일부 얻기도 했지만 장경태 의원에 비해 1.58%포인트 뒤처지며 5위 안에 들지 못했다.

친명계가 다수를 차지한 지도부가 탄생하면서 당내 갈등이 더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정 의원은 개정 추진으로 ‘이재명 방탄’ 논란이 일었던 ‘기소 시 직무 정지’ 당헌 80조에 대해 “폐지를 위해 차기 지도부에서 재개정 논의를 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장 의원도 권리당원 투표 우선 조항 신설이 중앙위원회에서 부결된 것과 관련해 “차기 지도부에서 다시 추진할 때는 민주당이 당원과 더 소통하고 더 가까이 가며 깊이 있게 살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차기 지도부가 당헌을 다시 개정할 가능성도 있어 친명계 대 비명계 간 대립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김진표 국회의장이 제안한 여야 중진 협의체 구상에 대해서도 박찬대·장경태 등 친명계 의원 22명은 기자회견을 열고 “제대로 된 정치는 제대로 선출된 당 지도부가 하면 된다”며 공식적으로 반대 입장을 밝혔다.


박예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