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이 허공을 바라보며 짖거나 평소 잘 가리던 대소변을 실수하는 등 이른바 ‘개 치매’ 가능성을 최대한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5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이 '개 노화 프로젝트'에 등록된 반려견 1만5019마리를 분석한 결과를 보도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비 활동적'인 개들은 운동과 산책 등으로 '매우 활동적'인 개들보다 인지 장애를 앓을 확률이 6.47배나 높은 것으로 나왔다.
활동성 외에는 반려견의 연령도 인지장애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파악됐다.
개는 견종·몸무게 등에 따라 수명이 다양하고 대개 대형견이 수명이 짧은 편이다. 체중이 최대 100㎏을 넘는 대형견 마스티프의 경우 수명이 6∼12년이다. 반면 소형견의 대표 주자 치와와의 수명은 12∼20년 정도다.
이번 연구에서 각 견종이 태어나 죽을 때까지의 삶을 4단계로 구분해 인지장애 발생률을 조사한 결과 삶의 마지막 단계인 4단계에서 해가 지날수록 인지장애 발생 위험이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신경계 장애, 청력·시력 손상 등도 개의 인지장애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파악됐다.
이번 '개 노화 프로젝트'의 전체 연구대상 반려견의 인지장애 비율은 1.4%였다. 해당 프로젝트의 연구 대상에는 태어난 지 얼마 안된 강아지부터 20살을 넘긴 초고령견이 포함돼 있다.
연구에 참여한 피츠패트릭 워싱턴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인지장애를 가진 개와 그렇지 않은 개를 비교했지만, 앞으로 해가 가면 똘똘했던 개가 나이를 먹고 인지력이 퇴화하는 사례도 연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