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안숙선 명창, 판소리 무형문화재 됐다

문화재청, '춘향가' 보유자로 인정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전 세계에 우리 소리를 알려온 국악인 안숙선(73·사진) 명창이 판소리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로 인정받았다.



문화재청은 안 명창을 ‘판소리(춘향가)’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로 인정한다고 6일 밝혔다. 문화재청의 한 관계자는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였던 고(故) 김순옥(예명 김소희·1917∼1995년) 씨에게 춘향가를 배웠으며 판소리 명창으로서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 있을 만큼 판소리 전승에 힘써왔다”고 설명했다.

안 명창은 향후 활동 계획과 관련해 “크고 거창한 계획보다는 제가 아는 우리 판소리를 올곧이 전하고 알릴 수 있도록 힘닿는 대로 열심히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안 명창은 전북 남원 출신으로 소리의 길에 들어선 뒤 60여 년을 국악과 함께했다.

관련기사



1957년 여덟 살의 나이에 국악을 시작한 그는 1979년 국립창극단에 입단해 주역을 도맡았으며 1986년 판소리 5바탕(춘향가·흥보가·심청가·수궁가·적벽가)을 완창했다.

1997년에는 ‘가야금산조 및 병창’ 보유자였던 스승 박귀희(1921∼1993년) 명창에 이어 보유자가 됐다.

그는 또 국립창극단 단장 겸 예술감독, 국립창극단 예술감독,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성악과 교수,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예술감독 등을 지냈다.

안 명창은 국제 무대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우리 전통문화 선양에 힘쓴 공로로 1998년 프랑스 정부로부터 예술문학훈장을 받았으며 지난해 대한민국 은관 문화훈장을 수훈했다.

조상인 미술전문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