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롯데건설 '위험성평가 AI' 개발로 선제적 안전관리 구축

김진(가운데) 롯데건설 안전보건경영실장과 이원종(왼쪽) 롯데정보통신 스마트리테일 부문장, 안동욱(오른쪽) 미소정보기술 대표이사가 ‘위험성평가 AI’ 오픈식 행사에 참여에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 제공=롯데건설김진(가운데) 롯데건설 안전보건경영실장과 이원종(왼쪽) 롯데정보통신 스마트리테일 부문장, 안동욱(오른쪽) 미소정보기술 대표이사가 ‘위험성평가 AI’ 오픈식 행사에 참여에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 제공=롯데건설




롯데건설이 지난 2일부터 인공지능(AI) 기반의 안전관리를 위해 ‘위험성 평가 AI’ 프로그램을 가동했다고 7일 밝혔다.



위험성 평가란 건설 현장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전에 모든 작업에 대한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대책을 선정해 실행하는 과정이다.

관련기사



기존 위험성 평가는 종사자 경험에 의존해 주관적으로 작성돼 위험요인이 누락되는 등 한계가 있었다. 반면 위험성 평가 AI는 해당 건설 현장에서 발굴하지 못한 위험요인을 추가적으로 도출할 뿐만 아니라 작업별 맞춤 추천으로 세밀하게 안전사고 예방 활동을 할 수 있다.

위험성 평가 AI 프로그램은 롯데건설 안전관리 직원 및 파트너사 직원이 현장별로 작업내용, 위험요인 등을 등록하게 되면 데이터 취합 및 분석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주요 기능으로는 △AI를 기반으로 한 모든 건설현장의 위험성 평가 분석 △위험성 평가 지원시스템(KRAS) 및 롯데건설 작업 표준 매뉴얼 등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작업별 맞춤 위험성 평가 추천 △수많은 데이터 중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골라내는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과 컴퓨터가 스스로 외부 데이터를 분석해 학습하는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기반한 위험성 평가 오류 탐색 및 적정성 검토 등이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이번 기술도입으로 전 건설 현장의 위험성평가를 분석하여 위험도가 높은 사업장을 우선 지원하고, 점검 및 관리할 수 있는 안전보건 관리체계를 구축했다”며 “기존의 업무방식에서 벗어나 혁신적인 안전관리 기술을 지속적으로 연구개발하고 건설 현장의 실질적인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보건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노해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