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LG전자 ‘6G 상용화’ 성큼 테라헤르츠 320m 송수신

獨서 프라운호퍼硏과 시연 성공

작년 8월 100m 전송 이어 쾌거

도심 커버리지 넘어 상용화 가능성 쑥


LG전자(066570)가 6세대(6G) 이동통신 기술 상용화에 성큼 다가섰다.

LG전자는 6G 테라헤르츠(㎔) 대역(155~175G㎐)을 활용해 실외에서 통신 신호를 320m 거리까지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8월 LG전자가 실외 100m 무선 송수신에 성공한 후 약 1년 만에 이룬 성과다.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프라운호퍼 하인리히·헤르츠 연구소에서 김병훈(오른쪽) LG전자 CTO 부사장이 현지 관계자와 6G 기술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사진 제공=LG전자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프라운호퍼 하인리히·헤르츠 연구소에서 김병훈(오른쪽) LG전자 CTO 부사장이 현지 관계자와 6G 기술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사진 제공=LG전자





LG전자에 따르면 이번 시연은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프라운호퍼 하인리히·헤르츠 연구소에서 진행됐다. 지난해 실외 100m 시연에서도 LG전자와 프라운호퍼 연구소는 6G 테라헤르츠 대역에서 전력 증폭기를 공동으로 개발, 출력 신호를 세계 최고 수준인 최대 15㏈m까지 끌어올린 바 있다.

관련기사



특히 이번 시연 성공으로 6G 상용화에 한발 더 다가섰다는 평가다.

LG전자 관계자는 “이번 성공은 일반 도심에서 사용하는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가 250m 수준이라는 점에서 특히 의미가 크다”며 “실내는 물론 실외 도심 지역 전반에서 6G 테라헤르츠 통신을 상용화하는 데 한발 더 다가선 셈”이라고 말했다.

6G 테라헤르츠와 같은 초광대역은 주파수 도달 거리가 짧고 안테나 송수신 과정에서 전력 손실이 심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끌어올리는 ‘전력 증폭기’와 수신 신호 품질을 향상시키는 ‘수신기 소자’ 개발이 가장 큰 걸림돌로 꼽혀왔다.

LG전자와 프라운호퍼 연구소는 이번 시연을 위해 전체 출력 20㏈m 이상의 ‘다채널 전력 증폭기’,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하는 ‘저잡음 수신 신호 증폭기’ 등 세계 최고 성능의 송수신 핵심 소자의 신규 개발에 성공했다. 또 모듈의 집적도를 높여 향후 상용화에 용이하도록 했다.

김병훈 LG전자 최고기술책임자(CTO) 부사장은 “연구 기관, 업체들과의 협력을 지속해 미래 사업의 핵심 기술 요소 중 하나인 6G 기술 리더십을 공고히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LG전자는 23일 서울 마곡에 있는 LG사이언스파크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공동으로 ‘6G 그랜드 서밋’ 행사를 열고 이번 테라헤르츠 기술 개발 성과를 포함한 그간의 6G 분야 개발 성과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