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청정 수소경제 전환 위해 대규모 연료전지 발전 확대해야"

"수소 모빌리티만으론 규모의 경제 도달 한계

수소발전으로 안정적·고정적 수요처 마련해야

수소 연료전지 발전, 파급효과 크고 친환경적"

지난달 31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개막한 국내 최대 규모의 수소 산업 전시회 'H2 MEET(Mobility+Energy+Environment+Technology) 2022'를 찾은 관람객들이 수소 경찰버스 및 수소 청소차·살수차, 수소 멀티콥터 드론, 30kW급 수소 연료 전지 파워팩이 탑재된 엠비전 터그카 등이 전시된 현대자동차·현대모비스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고양=오승현 기자지난달 31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개막한 국내 최대 규모의 수소 산업 전시회 'H2 MEET(Mobility+Energy+Environment+Technology) 2022'를 찾은 관람객들이 수소 경찰버스 및 수소 청소차·살수차, 수소 멀티콥터 드론, 30kW급 수소 연료 전지 파워팩이 탑재된 엠비전 터그카 등이 전시된 현대자동차·현대모비스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고양=오승현 기자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인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연료전지 발전 확대가 필수적이라는 전문가 지적이 나왔다.

에너지·자원 경제 전문가인 조홍종 단국대 경제학 교수는 21일 정운천 국민의힘 의원 등이 주최한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소 활용처 모색 정책토론회’에 발제자로 나서 “청정 수소경제를 구축하면 탄소중립 실현, 에너지 안보 확립, 탄소 포집·저장기술(CCS) 등 신산업 육성에 기여할 수 있다”며 “기업의 청정수소 생산·도입 계획에 맞춰 안정적이고 고정적인 대규모 수요처가 마련돼야 유기적이고 연쇄적인 산업 육성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특히 조 교수는 “수소버스·트럭 등 모빌리티만으로는 규모의 경제에 도달하는 데 한계가 있고 수소발전으로 대규모 수요를 창출해야 청정 수소경제 전환을 견인할 수 있다”면서 “현재 수소를 직접 주입해 발전할 수 있는 발전원이 연료전지뿐이라 수소경제 초기 대규모 연료전지 발전을 확대해 수소산업의 양적 성장을 촉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조 교수는 “청정수소발전 의무화제도(CHPS)가 법제화됐고 정부는 2023년 상반기 최초 수소발전시장 개설을 계획하고 있다”며 “대규모 연료전지 보급으로 청정 수소 인프라 구축 및 연료전지 생산·설비 단가 하락을 유인하고 수소경제의 핵심 엔진 역할을 하는 연료전지 원천기술 개발을 촉진해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에 따르면 수소 혼소 및 암모니아 혼소 발전이 아직 상용화되지 않은 반면 연료전지 발전은 이미 상업운전이 이뤄지고 있는 데다 발전량 대비 수소 사용량이 많아 대규모 수요 창출에 유리하다. 높은 국산화율 덕분에 전후방 산업 파급효과가 크고 연소가 아닌 수소 화학 반응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만큼 대기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것도 연료전지의 장점이다.

조 교수는 “발전뿐 아니라 수소차, 항공, 선박 등 다양한 모빌리티에도 연료전지가 활용될 수 있다”며 “미래 그린수소 생산의 필수 설비인 수전해 설비와도 설비·부품 구성이 거의 유사해 대규모 발전용 연료전지 보급이 모빌리티 산업·수전해 분야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 의원은 개회사에서 “수소는 생산·유통·활용 전 주기가 유기적으로 구축돼야 작동 가능한 산업이지만 대규모 생산한 수소를 어떻게 활용할지 구체적 방안은 마련돼 있지 못하다”면서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 초기에 대규모 활용처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축사를 맡은 이철규 국민의힘 의원은 “세계 에너지 시장의 패권이 산유국 중심에서 재생 에너지를 비롯한 수소경제 강국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며 “앞으로 태양과 바람, 그리고 수소를 잘 활용하는 국가가 세계의 질서를 이끌어 가게 되는 만큼 수소의 생산·유통·활용 전 주기에 걸쳐 산업 육성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