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 코로나19 감염이 인지기능 저하를 가속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원장원 교수·정재훈 전공의 연구팀은 노인 노쇠 코호트 국책과제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이 노인의 인지기능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드러났다고 31일 밝혔다.
한국 노인 노쇠 코호트는 지난 2016년부터 전국 노인을 대상으로 매 2년마다 다양한 기능평가와 검사를 실시하며 추적조사를 진행 중이다. 연구팀은 코호트 참가자 중 72~84세를 선별하고 2017년 참가자(1027명)와 2018년 참가자(879명)로 나눠 2년 후의 인지기능 변화를 비교·분석했다. 2017년 참가자의 경우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되기 전인 2019년까지 변화한 폭을, 2018년 참가자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까지 변화한 폭을 평가한 것이다. 치매로 진단받았거나 인지평가(MMES) 점수가 10점 이하인 경우는 분석에서 제외했다.
그 결과 즉시기억을 평가하는 ‘단어목록 기억하기’ 항목에서 2018년 그룹의 평균값이 2017년 그룹에 비해 0.67점 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연기억 평가항목인 ‘단어목록 회상하기’ 항목 역시 2018년 그룹에서 0.28점 더 감소했다. 코로나19가 창궐하기 이전보다 코로나 팬데믹19 영향을 받은 시기에 인지기능 감소 폭이 컸다는 의미다.
학계에서는 코로나19 감염이 인지기능 저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대한치매학회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된 환자 1400여 명을 1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10명 중 1명이 인지기능장애 위험을 동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6개월 시점의 인지기능장애 위험도는 5배, 10개월 시점에는 8배 정도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연구는 코로나19 뿐 아니라 팬데믹을 겪으면 노인의 인지기능이 감소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평가받는다. 원장원 교수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활동 감소와 격리, 그에 따른 우울증상 등이 인지기능장애를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고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두려움, 체내 염증물질 증가 등도 가능한 원인으로 판단된다”며 “코로나19 팬데믹에 의한 간접 영향으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인지기능이 감소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에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SCIE 국제학술지인 ‘국제환경 연구 및 공중보건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8월호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