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집값 수 억 폭락, 안 팔아 세라도 받자"…버티기 나선 집주인들

서울 아파트매물 석달새 9% 줄고

전월세 물량은 38.9% 크게 늘어

"하락세 커지자 당분간 관망 선택"

7월 거래량 2006년이후 최저 기록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전경. 연합뉴스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전경. 연합뉴스




서울 부동산 시장의 ‘거래절벽’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집주인들이 매도용으로 내놓았던 매물을 임대로 전환하고 있다.

4일 아실에 따르면 이날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 매물은 5만 8990건으로 7월 1일 6만 4470건보다 5780건(9.0%) 줄었다. 이 기간 용산구를 제외한 모든 자치구에서 매매 매물이 감소했다. 특히 서초(-18.7%), 광진(-17.4%), 강북(-15.5%), 송파(-14.6%), 성동(-13.2%), 노원(-13.2%)의 매물 감소 폭이 컸다. 반면 서울 전월세 매물은 같은 기간 4만 5246건에서 6만 2850건으로 1만 7604건(38.9%) 급증하는 등 모든 자치구에서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공인중개사들은 계약갱신청구권 사용이 만료된 새로운 전월세 매물이 나오고 있는 데다 팔리지 않는 매매 매물 일부가 전월세로 전환되며 임대차 물량이 쌓이고 있다고 설명한다. 하반기 들어 매매 물량은 14.6% 줄고 임대차 물량은 25.3% 늘어난 송파구에서 공인중개업을 하는 A 씨는 “‘파크리오’ 같은 대단지의 경우 매매 호가가 계속 내려가자 일정 금액 이하로는 팔 수 없다고 판단한 집주인들이 차라리 보증금이나 월세라도 받겠다며 매물을 임대로 돌려달라고 요청하고 있다”며 “실제로 전용면적 84㎡의 경우 매매 호가가 20억 원 이하로 떨어지자 다주택자 주인이 그냥 세입자를 들이겠다며 매매를 전세로 바꿨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노원구 역시 비슷한 상황이다. 이 지역은 매매 물량은 13.2% 감소하고 전월세 매물은 48.3% 늘었다. 상계동의 공인중개사 B 씨는 “2020~2021년 가격이 크게 오른 ‘상계주공’ 집주인들이 올 들어 매도에 나서고 있지만 매수세가 위축돼 급급매만 팔리는 것을 보고 고민에 빠진 상황”이라며 “당장 현금이 급하지 않은 집주인들은 재건축 진행에 따른 집값 반등을 노리고 전세 또는 월세로 매물을 돌리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전문가들은 부동산 거래가 급감하는 가운데 매매에서 전월세로 전환하는 움직임은 나타날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매도인들은 내놓은 집이 팔리지 않으면 호가를 조정하겠지만 본인들이 감내할 수 없는 일정 구간 아래로는 내리지 않을 것”이라며 “매수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 집을 공실로 둘 수는 없기 때문에 일부는 임대로 전환하는 선택을 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최근 서울 집값 하락세가 커지면서 ‘지금 팔면 손해’라는 인식을 가진 집주인들은 전월세로 전환해 당분간 관망하는 것이 현명할 수 있다”며 “다만 전세가격 역시 최근 들어 가파르게 떨어지고 있기 때문에 전세로 전환하더라도 시세보다 낮지 않은 이상 거래가 힘들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한편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에 올해 3~5월 반등했던 서울 부동산 거래는 기준금리가 인상되고 집값 고점 인식이 커지며 급감하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7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643건으로 2006년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후 최저치를 기록한 데 이어 8월에는 이와 비슷한 수준인 667건에 머물렀다.


김경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