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아이폰14, 어떻게 사야 저렴할까 [윤기자의 폰폰폰]

'아이폰은 선택약정' 공식

아이폰14도 그대로 적용

LTE 괜찮다면 알뜰폰이 최적


아이폰14가 7일 국내 출시됐습니다. 높은 환율에 ‘역대급 가격’ 논란을 빚었지만, 막상 일주일 간 진행한 예약판매에서는 출고가 170만 원인 프로·256GB 모델이 가장 큰 인기를 끌었다고 합니다. 고성능 스마트폰을 선호하는 국내 소비자 취향과, 아이폰에 대한 높은 브랜드 충성도가 영향을 끼친 결과로 보입니다. 기본형·플러스가 전 세대와 같은 모바일AP를 사용한 ‘옆그레이드’라는 점도 상위 모델 인기가 상대적으로 높아진 이유 중 하나겠지요.

애플의 신제품 아이폰14 시리즈 공식 출시일인 7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 애플스토어에서 고객들이 입장을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애플의 신제품 아이폰14 시리즈 공식 출시일인 7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 애플스토어에서 고객들이 입장을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전통적으로 아이폰은 예약구매자가 많습니다. 공시지원금이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깜깜이 구매’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죠. 어차피 초기 공시지원금이 적은 편이고, 요금할인(선택약정)이 도입된 후로는 선택약정이 더 저렴한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입니다.



이번 아이폰14 시리즈도 선택약정 구매가 더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이폰14 시리즈는 모델마다 출고가는 다르지만 공시지원금은 모두 같습니다. 요금제에 따라 SK텔레콤은 7만4000~13만7000원, KT 8만5000~24만 원, LG유플러스 8만7000~22만9000원입니다. 아이폰14 시리즈 최저가 모델인 기본형 128GB가 125만 원이니, 최고 요금제를 써도 할부원금이 100만 원 가량입니다.

관련기사



이런 경우에는 휴대전화는 출고가로 구매하고 요금을 25% 할인 받는 선택약정이 유리합니다. 선택약정은 2년 간 한 통신사를 유지하는 대신 요금 할인을 받는 제도입니다. 요금에 대한 할인인 만큼 요금제에 따라 할인액이 다르겠죠. 또 ‘통신료’를 할인해주니, 모델이 다르더라도 할인액은 같습니다.

현재 통신 3사는 선택약정시 5G 최저 요금제에서 2년간 SK텔레콤 29만4360원, KT는 27만 원, LG유플러스는 28만2000원의 요금을 할인해줍니다. 최고 요금제를 쓰면 SK텔레콤은 75만1080원, KT과 LG유플러스는 78만 원을 할인 받을 수 있습니다.

최저·최고 요금제를 쓰는 경우는 흔치 않으니 가장 인기 높은 아이폰14 프로 256GB를, 역시 가장 흔히 사용하는 8만 원 대 무제한 요금제로 구매한다 가정해봅시다. 선택약정 할인액은 SK텔레콤 53만4600원, KT 48만 원, LG유플러스 51만 원입니다. 3사 별 8만 원 대 요금제는 각각 8만9000원, 8만 원, 8만5000원이죠. 현행 공시지원금·선택약정 제도 하에 휴대전화는 한 번 구매할 때 기기와 2년치 통신료를 한 번에 구매한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선택약정 구매시에는 ‘기기 출고가 + (월 통신료 * 24 - 선택약정 할인액)’를 계산하시면 됩니다.

굳이 5G가 필요 없다면 저렴한 알뜰폰을 찾는 것도 좋습니다. 온라인 몰과 애플 공식 홈페이지, 오프라인 매장 등지에서 스마트폰을 구매하고 알뜰폰 회선을 개통하면 됩니다. 마침 e심이 도입돼 간편한 번호이동도 가능해졌고 아이폰XS 이후 모델은 모두 e심을 지원합니다. 가성비 면에서는 가장 추천드리고 싶은 방법이기도 합니다.


윤민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