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국민 1인당 세금 부담 지난해 1200만원

국회예산정책처 추계 조세 현황

文정부 첫해보다 300만원 증가

“재정 건전성 강화대책 마련해야”





지난해 우리나라 국민 1명이 납부한 세금 부담액이 1200만 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재인 정부 첫해와 비교하면 300만 원가량 늘었다.



1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이 국회예산정책처에 의뢰해 추계한 ‘2017~2021년 조세 및 국민 부담액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국세·지방세 등 조세와 연금·보험료 등 사회보장 기여금을 합산한 국민 부담액은 총 619조 4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문재인 정부 첫해인 2017년(465조 5000억 원)보다 153조 9000억 원 증가한 수치다.

관련기사



국민 부담액을 해당 연도 인구수로 나눈 1인당 국민 부담액은 같은 기간 899만 원에서 1199만 원으로 늘었다. 국민 한 사람이 부담하는 세금 액수가 4년 만에 300만 원 늘어난 것이다.

1인당 국민 부담액은 2019년 1000만 원을 넘어선 후 2020년 1039만 원, 2021년 1199만 원 등으로 계속해 증가하는 추세다. 사회보장 기여금을 제외하고 총조세 기준으로 집계한 1인당 조세 부담액 역시 2017년 668만 원에서 2021년 885만 원으로 217만 원 증가했다.

청소년이나 노인 등을 제외하고 실제 경제활동을 담당하는 생산연령인구(15~64세)를 대상으로 계산하면 세금 부담은 더 늘었다. 지난해 생산연령인구 1인당 국민부담액은 1689만 원으로 2017년(1237만 원)보다 500만 원 가까이 늘었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조세 비중을 나타내는 조세부담률의 경우 2017년 18.8%에서 2021년 22.1%로 3.3%포인트 올라갔다. 사회보장 기여금을 포함해 집계하는 국민 부담률 또한 2017년 25.4%에서 2021년 29.9%로 4.5%포인트 상승해 30%에 근접했다. 김 의원은 “지난 정부 5년간 재정 투하와 현금성 복지 남발로 재정 건전성이 악화했다”며 “하루빨리 재정 건전성 강화 대책이 실천돼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