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걸리면 절반 사망, 백신 없어"…코로나 잠잠해지자 '이 병' 주의보

WHO '수단형 에볼라' 가파른 확산 우려

美보건당국도 "유입차단" 입국검사 시행

최근 우간다 에볼라 발병을 처음 검사한 의학연구소 보조원 쿄무기샤. AP 연합뉴스최근 우간다 에볼라 발병을 처음 검사한 의학연구소 보조원 쿄무기샤. AP 연합뉴스




코로나19와 힘겨운 사투를 벌이고 있는 아프리카 대륙에 또 다른 전염병이 확산하고 있다. 평균 치명률이 50%에 달하는 에볼라 바이러스다.



10일(현지시간)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학술지 네이처 등에 따르면 지난달 우간다에서 에볼라 발병이 보고된 이후 우간다에서만 63명이 감염됐고 이 가운데 29명이 사망했다. 특히 과학자들은 지난 한 달 동안 우간다 내 5개 지역에서 에볼라가 확산하는 속도에 우려를 나타냈다.

국제 분자진단 평가·공급기구 'FIND'의 다니엘 바우슈 국제 보건안보 책임자는 "감염자들이 매우 가파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라며 "확실히 우려스러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에볼라는 1976년 콩고민주공화국 에볼라강 인근에서 처음 발견된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이후 수십년간 대규모 발병 사례가 보고되지 않다가 2014년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빠른 속도로 번졌고 미국 본토에도 유입됐다.

이후 WHO가 서아프리카에서 에볼라가 종식됐다고 선언했지만 2019년 또 다시 유행이 번져 국제공중보건위기 상황이 선포되기도 했다.



코로나19처럼 전 세계에 확산되진 않았지만 에볼라의 위험성은 매우 크다. 에볼라의 치명률은 25~90%를 오가기 때문이다. 게다가 보건의료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약한 아프리카 대륙에선 감염되면 사망에 이를 가능성이 크다.

관련기사



에볼라의 잠복기는 2~21일로 잠복기가 지나면 독감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다가 전신성 출혈이 진행돼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감염 방식은 증상이 있는 기감염자의 혈액 또는 체액 직접 접촉 또는 오염된 환경과의 간접 접촉, 감염된 영장류(원숭이, 침팬지 등)와의 접촉이다. 다만 직접접촉이 전파의 핵심 경로인 만큼 전파력은 코로나19 보다는 상당히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에 우간다에서 감염사례가 빠르게 증가한 에볼라는 지금까지 발견된 5종의 바이러스 중 '수단형'이다. 평균 치사율은 50%로 ‘자이르형’ 등 다른 종류보다 다소 낮다.

문제는 아직 수단형 에볼라에 대응하는 백신과 치료제가 미비하다는 사실이다. 수단형 에볼라 관련 백신은 아직 개발 시도조차 되지 않은 상태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보건 의료 현장에 있는 의료 인력 가운데에서도 감염 및 사망 사례가 나오고 있다. 제인 루스 아쳉 오체로 우간다 보건장관은 이날 오전 58세 마취 담당관인 마거릿이 에볼라로 숨졌으며 이로써 에볼라에 희생된 보건 의료 종사자가 4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과거 에볼라 유입 경험이 있는 미국 역시 비상이 걸렸다. 미국 보건당국은 이번 주부터 21일 내 우간다 방문 이력이 있는 사람들에 대한 입국 검사를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특히 우간다에서 미국으로 유입되는 방문자는 하루 평균 140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졌을 뿐만 아니라 이들 중 절반 이상이 뉴욕과 시카고, 애틀란타, 워싱턴 등 미국 내 대도시를 거쳐 입국한다.

한국에는 지금까지 에볼라 바이러스 유입 사례가 없다. 호흡기를 통해서는 전파되지 않기 때문에 추후 국내로 유입될 가능성도 낮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나 정부는 아프리카에서 에볼라 경고등이 뜰 때마다 사전 대비 태세를 마련했다. 원체 치명률이 상당해 혹시라도 유입될 경우 위험성이 크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는 WHO가 에볼라 관련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을 선포한 2019년 에볼라의 국내 유입 상황을 가정한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한 바 있다.


변윤재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