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국회 연금특위 석달만에 첫 가동…연금개혁 속도

김태현(오른쪽)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이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의 국민연금공단과 한국사회보장정보원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김태현(오른쪽)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이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의 국민연금공단과 한국사회보장정보원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가 석 달 만에 첫 회의를 열고 본격 가동에 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16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여당 간사인 강기윤 의원은 이달 25일 연금특위 첫 회의를 열자고 더불어민주당 측에 제안했다. 민주당 간사인 김성주 의원은 “여당의 제안을 받고 의원들의 일정을 조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 7월 여야는 연금특위 구성에 합의해 위원장에 주호영 국민의힘 의원을 발탁하고 위원 인선까지 마쳤지만 국정감사와 국민의힘 내홍에 지금껏 개점휴업 상태다.

관련기사



연금특위는 10여 년간 정치권에서 답보 중인 공적연금과 기초연금 등 개혁 방안에 유의미한 성과를 내겠다는 목표로 발족했다. 인구 감소, 연금 고갈 위험 등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된 만큼 여야 모두 개혁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개혁 방식을 두고 양측 간 이견이 적지 않아 합의까지 진통이 예상된다.

연금 개혁을 3대(연금·노동·교육) 개혁 과제 중 하나로 꼽은 윤석열 정부도 연금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8월 착수한 재정 추계 결과를 토대로 모수 개혁(보험료율·소득대체율 등 수치 조정) 등을 논의해 내년 10월까지 국회에 국민연금 개혁안을 제출하겠다고 예고했다.

연금특위는 특위 산하 민간자문위원회·국민통합위원회 구성 등을 우선 논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 의원은 “아직 안건에 대한 사전 협의는 이뤄지지 않았다”며 “첫 회의는 향후 특위 운영 방식에 대해 논의하는 상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