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성 비위·횡령·문서위조…광주과학기술원 '왜 이러나'

최근 5년간 교직원·학생 비위 징계 자료 결과

유령 연구소기업 등 부적절 행위 연일 도마위

광주과학기술원 전경. /서울경제 DB광주과학기술원 전경. /서울경제 DB




인재양성 요람이라고 자부한 광주과학기술원(GIST)에 대한 부적절 행위가 연일 도마위에 오르고 있다. 애초부터 설립 자격조차 갖춰지지 않은 일명 ‘유령 연구소기업’을 키우면서 부적정 정부출연료를 ‘허공’에 날린데 이어 최근 5년간 교직원·학생에 대한 징계처분 중 성비위, 횡령·금품수수 등 부적절 행위가 다수 나와 비난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1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영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4대 과학기술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최근 5년간 교직원·학생에 대한 139건의 징계 처분 중 21%(29건)가 성매매·성폭력·성희롱 등 성 비위다. 이어 음주운전 7건, 횡령·금품수수 7건, 갑질·인권침해 4건 등으로 분석됐다.



이 중 GIST는 성 비위(3건), 음주운전(1건), 횡령·금품수수(4건), 문서위조·유출(1건), 기타(12건) 등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김영주 의원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과학기술 교육 연구기관이 성범죄로 불명예를 안은 현실이 안타깝다”며 “과학기술원 내규에 따른 징계 양정기준이 현실과 맞지 않으므로 성범죄와 관련된 징계 기준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GIST는 애초부터 설립 자격조차 갖춰지지 않은 일명 ‘유령 연구소기업’을 키웠다는 서울경제신문 보도<2022년 10월 4·5일>와 관련, 막대한 부적정 정부출연료가 지급된 것으로 드러나는 등 후폭풍이 거세지고 있다.

현재 지원기관의 감사가 진행중인데, 파장은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광주=박지훈기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