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감원, 카카오 금융 계열사 화재 대응 적절성 점검

카카오뱅크·카카오페이·카카오증권에 비상대응 관련 자료 제출 요청

위규 사항 발견시 현장 검사 가능성도





금융감독원이 카카오뱅크·카카오페이·카카오증권 등 카카오 금융 계열사들을 대상으로 전산센터 문제 발생에 따른 비상 대응이 적절했는지 점검에 나선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날부터 카카오 금융 계열사를 대상으로 비상 대응에 문제가 없었는지 점검에 들어갔다. 우선 금감원은 분당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발생으로 문제가 생긴 15일부터 16일까지 시간대별로 어떤 대응을 했으며 비상 대응계획 메뉴얼 등에 따라 그대로 이행했는지에 대한 자료를 카카오 금융 계열사로부터 받아볼 예정이다. 자료 검토 후 위규 사항 등이 확인되면 현장 검사 등을 결정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앞서 금감원은 전날 보도자료를 통해 카카오 금융 계열사들은 화재 이후 곧바로 재해복구센터를 가동해 금융거래의 전산처리에 문제는 없었지만 일부 송금 및 결제 등 금융서비스에 상당시간 장애가 발생해 원인을 규명하고 비상대응계획 가동실태 등을 살펴보겠다고 밝혔었다.

금감원이 카카오 금융 계열사의 금융 서비스 피해 현황을 파악한 결과 카카오뱅크는 주 전산센터가 서울 상암동에 위치해 있어 화재 피해로 인한 전산상 직접 손상은 없었다. 계좌이체 송금은 계속 정상 가동되고 있으며, 카카오톡을 통한 간편이체(1일 100만원 한도)가 일부 작동하지 않아 계좌 이체 방식으로 송금하도록 안내했다.

카카오페이의 경우 판교 주전산센터에 화재 피해가 발생했지만 곧바로 재해복구센터 가산디지털단지 전산망으로 연계해 금융거래가 가능하도록 조치했다. 화재 사고 이후 송금 및 결제 서비스가 중단됐지만 15일 오후 7시부터 대부분 서비스가 순차적으로 정상화돼 현재는 송금 결제 등이 정상 운영됐다. 카카오증권도 판교 주전산센터 관련 데이터 처리를 즉시 재해복구센터 가산디지털단지로 이관했다. 고객계정은 클라우드 서비스로 관리되고 있어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윤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