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자유' 뺀 채 경제 13번·약자 7번…與의원, 19차례 박수로 호응

지원 32회 최다…투자 9회 등 언급

'건전' 6회로 긴축재정 기조 확인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대한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대한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의 내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의 키워드는 ‘경제위기’와 ‘약자 지원’이었다. 5월 추가경정예산안 시정연설 때는 거의 언급하지 않았던 재정 건전성 개념도 비중 있게 다뤄졌다. 다만 연설 때마다 단골로 등장했던 ‘자유’는 빠졌다. 윤 대통령의 연설이 이어지는 동안 국민의힘 의원들은 19차례의 박수를 보내며 호응했다. 연설 도중 사진을 찍는 여당 의원들도 눈에 띄었다.








25일 윤 대통령의 2023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시정연설을 분석한 결과 윤 대통령이 가장 많이 사용한 단어는 ‘지원(32회)’이었다. 취약 계층 지원 관련 예산을 자세히 언급한 결과다. 이어 ‘경제’와 ‘약자’가 각각 13회, 7회로 집계됐다. 글로벌 복합 위기 속 가장 먼저 복지 사각지대로 내몰릴 수밖에 없는 사회적 약자 지원에 예산과 정책의 중점을 두겠다는 의지로 해석됐다.

관련기사



윤 대통령은 시정연설에 앞서 김진표 국회의장의 주재로 열린 여야 지도부 환담 자리에서도 “약자 복지의 미흡한 점이 보이면 언제든 지적해달라. 더 적극적으로 챙기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시정연설 전면 불참이라는 초유의 사태 속에서도 ‘국회’를 6번 언급하며 초당적 협력을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국회의 협조를 부탁드리고자 5개월여 만에 다시 이 자리에 섰다”며 연설을 시작했고 “국회에서 법정 기한 내 예산안을 확정해달라”며 마무리했다. 예산안 의결을 위해선 거야(巨野)의 협조가 필수적인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해석됐다.

윤 대통령은 추경안 시정연설 때와 달리 재정 건전성의 중요성을 거듭 언급하기도 했다. 당시 윤 대통령은 ‘재정의 건전성’라는 표현을 단 한 차례 사용했다. 반면 이번 연설에서는 ‘건전’이라는 표현을 6회나 사용하며 새 정부의 긴축재정 기조를 재확인했다. 모두 ‘재정’이라는 단어와 함께 쓰였다.

이와 함께 윤 대통령은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투자’ ‘산업’ 등의 단어를 각각 9회, 5회 사용했다. 청년들을 위한 맞춤형 지원 정책을 설명하면서 ‘청년(6회)’도 비중 있게 다뤄졌다. 다만 윤 대통령이 앞서 기념사나 축사에서 자주 언급했던 ‘자유’ ‘연대’ ‘법치’ 등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짧은 연설 동안 경제위기 속 약자 지원이라는 메시지를 핵심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김남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