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일주일간 오세훈 세 번 만난 IOC 위원장 “서울, 올림픽 개최에 준비된 도시”

오세훈 서울시장 토마스 바흐 위원장과 비공개 면담

일주일 간 세 번째 만남…2036 올림픽 유치전 사활

‘잠실 스포츠·마이스 복합공간’ 조성사업 추진 피력

바흐 위원장, “도시계획 분야에서 스포츠 비전 갖춰"

오 시장, 2조 1000억 원 규모 민간 투자 유치도 나서

스위스 로잔을 방문 중인 오세훈 서울시장이 24일 오후(현지시간) 올림픽하우스에서 토마스 바흐 IOC위원장과 면담 후 악수하고 있다./사진제공=서울시스위스 로잔을 방문 중인 오세훈 서울시장이 24일 오후(현지시간) 올림픽하우스에서 토마스 바흐 IOC위원장과 면담 후 악수하고 있다./사진제공=서울시




오세훈 서울시장이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과 만나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해 2조 1000억원의 민간 투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에 바흐 위원장은 “서울은 준비된 도시라는 인상을 받았다”며 화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26일 서울시에 따르면 오 시장은 24일(현지시간) 스위스 로잔에 있는 IOC 본부 올림픽하우스에서 바흐 위원장과 비공개로 만나 이같이 말했다. 오 시장은 바흐 위원장과 지난 18일, 20일에 이어 일주일동안 세 번째 만남을 가졌다. 국내후보도시 선정까지 약 1년 가량을 앞두고 올림픽 유치를 위한 비공식 대화 채널을 강화하며 올림픽 유치전을 위한 군불을 때고 있는 것이다.

이날 오 시장은 바흐 위원장에게 “2036년이면 서울올림픽을 치른 후 거의 50년을 앞두게 된다”며 “올림픽 시설물을 스포츠·국제회의 공간으로 리빌딩하는 작업을 시작했으며 민간 투자사업으로 2조 1000억원을 투자해 앞으로 7~8년 내에 완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현재 송파구 잠실종합운동장 일대 35만㎡ 부지에 전시·컨벤션·업무·숙박·스포츠 시설 등을 구축하는 ‘잠실 스포츠·마이스 복합공간’ 조성사업을 추진 중이다.

바흐 위원장은 “잠실 마이스 프로젝트를 듣고 서울시가 도시계획 분야에서 장기적 비전을 갖고 있고 그 비전에서 스포츠의 역할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준비된 도시라는 인상을 받았다”고 화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그는 “올림픽 개최 도시가 되려면 개최 희망도시들이 비공식 대화의 물꼬를 트는 게 첫 단계”라며 “대한체육회와 소통하며 조금 더 구체적인 대화가 오가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올림픽 유치전은 역대 최대 경쟁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직까지 세계올림픽도시연합 연례회의에서 올림픽 개최의지를 공식적으로 밝힌 곳은 없으나 서울시에 따르면 인도를 비롯해 중국, 인도네시아, 카타르, 튀르키예 등이 유치 의사를 표명했다. 독일, 헝가리, 러시아, 영국 등도 유치전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관련기사



서울시가 올림픽 유치전에 나서기 앞서 과잉 투자를 피하고 효율적인 개최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올림픽 개최 비용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건 ‘인프라 구축’이다. 이 다음에 선수촌 건립, 신규 경기장 건립, 경기장 개보수 및 임시시설 설치 순으로 많은 예산이 투입된다. 서울시는 이미 서울 및 수도권에 경기장이 건립돼있는데다 잠실경기장 리빌딩을 통해 인프라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기자들과 만나 “마이스 프로젝트는 올림픽 개최와는 무관하게 시민을 위해 계획된 사업”이라며 “올림픽을 개최하게 된다면 매우 큰 시너지 효과가 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밖에 절반을 차지하는 선수촌 건립비용을 주택재개발사업 등을 활용한 민간투자사업을 통해 비용을 절감한다는 계획이다.

2024년 파리 올림픽 선수촌은 파리 도심에서 15분 거리에 위치한 생뚜앙 및 생드니 지역 재개발 사업으로 추진 중인 것처럼 잠실 아시아선수촌 아파트 재건축 사업에 인센티브를 줘서 올림픽 기간동안 선수촌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개최비용 최소화를 위해 스케이트보드, 브레이크댄스 같이 대규모 시설투자가 필요하지 않은 오픈형 도심스포츠(Urban Sports)를 올림픽 신설 종목으로 도입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한편 2030 부산 엑스포 유치전과 시기가 겹치면서 국가 차원의 노력이 분산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서울시는 이미 2030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해 적극 협력하겠다는 약속을 한 상태”라며 “2019년 6월 이후 국가 차원보다는 도시 경쟁력 중심으로 유치 절차가 변경된 만큼 조용히 서울의 유치 필요성과 비전을 공유하는 전략을 펼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와 함께 평양 등 남북 공동개최 가능성도 열어뒀다. 이 관계자는 “경색된 남북관계를 고려할 때 불확실성이 너무 큰 게 사실”이라면서도 “서울 단독 개최로 준비하되 남북 공동개최도 불가능하진 않다는 자세로 접근하겠다”고 말했다.

로잔=변수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