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檢, '계열사 부당지원 의혹' SPC총괄사장 소환

허영인 SPC그룹 회장이 21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SPC 본사에서 계열사 제빵 공장 사망 사고에 대한 대국민 사과를 하고 자리를 떠나고 있다. 연합뉴스허영인 SPC그룹 회장이 21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SPC 본사에서 계열사 제빵 공장 사망 사고에 대한 대국민 사과를 하고 자리를 떠나고 있다. 연합뉴스




SPC그룹의 계열사 부당 지원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그룹 총괄사장을 피고발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연내 사건 처리를 목표로 수사 중인 검찰은 조만간 허영인 SPC 회장 등 회사 관계자를 소환할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사부(이정섭 부장검사)는 27일 계열사 부당 지원 의혹을 받는 황재복 SPC그룹 총괄사장을 피고발인 신분으로 소환해 관련 내용을 캐물었다. 황 사장은 2011~2018년 파리크라상·샤니·SPL·BR코리아 등 SPC그룹 계열사들이 SPC삼립에 일감을 몰아줘 총 414억 원의 이익을 얻는 데 관여한 혐의를 받고 있다.

관련기사



검찰은 총수 일가의 계열사 지배력 유지와 경영권 승계를 목적으로 2세들이 보유한 SPC삼립의 주식 가치를 높이려고 ‘통행세’를 몰아준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앞서 공정위는 SPC그룹이 총수 관여하에 SPC삼립을 위한 다양한 지원 방식을 결정하고 그룹 차원에서 실행해왔다며 2020년 8월 허 회장과 조상호 당시 총괄사장, 황 사장 등을 검찰에 고발했다. 또 같은 해 10월 시정 명령과 함께 파리크라상(252억 3700만 원), 에스피엘(76억 4700만 원), 비알코리아(11억 500만 원), 샤니(15억 6700만 원), SPC삼립(291억 4400만 원)에 총 647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2011~2018년까지 7년간 지속된 지원을 통해 SPC삼립에 총 414억 원의 이익이 제공됐으며 밀가루 등 원재료 시장이 봉쇄돼 경쟁 사업자, 특히 중소기업의 경쟁 기반 침해가 발생했다는 게 공정위의 판단이다.

한편 평택 SPC 계열사 SPL의 제빵 공장에서 발생한 20대 근로자 사망 사고 유족은 이날 허 회장을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로 고용노동부에 고소했다. 고용부는 중대법 위반 혐의로 강동석 SPL 대표를 입건한 상태다.


이진석 기자·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