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참사 사흘전 용산구·경찰 회의…안전대책은 없었다

■이태원 핼러윈 참사

10만명 넘는 인파 밀집 예상했지만

서울시 불참…방역·범죄 예방 중점

警 목격자 조사·CCTV 52대 분석

정부 장례비 최대 1500만원 지원

윤희근 경찰청장이 31일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 분향소에서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윤희근 경찰청장이 31일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 분향소에서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악의 압사 참사로 기록될 29일 이태원 핼러윈 축제를 사흘 앞두고 용산경찰서와 용산구청이 간담회를 열었지만 별다른 안전 대책을 수립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10만 명 넘는 인파가 집결할 것이라는 예상이 잇따랐지만 관련 매뉴얼이 없다는 이유로 대책을 마련하지 않아 책임 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31일 경찰 등에 따르면 이태원 참사 사흘 전인 26일 이태원관광특구연합회 사무실에서 핼러윈 축제에 대비한 간담회가 진행됐다. 간담회에는 용산경찰서 과장과 이태원파출소장, 이태원역장, 용산구청 관계자, 연합회 상인 등이 참석했다. 하지만 간담회에서는 안전 대책에 대한 논의 없이 범죄 예방과 코로나19 방역 대책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의견을 나눈 것으로 확인됐다.

시민들이 31일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압사 사고 희생자 합동 분향소를 찾아 조문한 후 침통한 표정으로 발걸음을 돌리고 있다. 합동 분향소는 서울광장을 비롯해 서울 25개 자치구에도 마련됐으며 국가애도기간인 11월 5일까지 오전 8시~밤 10시에 운영된다. 성형주 기자시민들이 31일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압사 사고 희생자 합동 분향소를 찾아 조문한 후 침통한 표정으로 발걸음을 돌리고 있다. 합동 분향소는 서울광장을 비롯해 서울 25개 자치구에도 마련됐으며 국가애도기간인 11월 5일까지 오전 8시~밤 10시에 운영된다. 성형주 기자



특히 서울시 관계자는 참석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10만 명 넘는 사람들이 밀집할 장소였음에도 행사 안전을 자치구와 지역 경찰에 떠넘긴 꼴이 됐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게 됐다. 당시 사전 간담회에서 용산경찰서 관계자가 핼러윈 축제 기간에 많은 사람이 몰릴 경우 무정차 통과를 적극 검토해달라고 이태원역장에게 요청했으나 이마저도 반영되지 않았다.

관련기사



경찰 수사도 본격화되고 있다. 이날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뒤에서 누군가 미는 바람에 사고가 발생했다”는 생존자들의 증언과 관련해 목격자 조사와 영상 분석 등으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정확한 경위를 확인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경찰은 현재까지 총 44명의 이태원 상점 종사자와 부상자에 대한 조사를 마쳤고 공공 장소와 상점에 설치된 폐쇄회로TV(CCTV) 52대를 분석하고 있다.

핼러윈 축제 기간에 경찰 통제 인력이 부족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경찰 자체적으로 매뉴얼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국수본의 한 관계자는 “주최 측이 없는 다중 인파 사건에 대응하는 경찰 관련 매뉴얼 없다”며 “핼러윈 현장에 투입된 인력은 통상적으로 예견할 수 있는 위험을 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날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17개 시도에 합동 분향소를 설치하고 다음 달 5일까지 조문객을 받는다고 밝혔다. 사망자 유가족에게는 2000만 원의 위로비를 비롯해 최대 1500만 원의 장례비를 정부에서 지원한다.


이지성 기자·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