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원자력硏에 中국적 뽑히기도"…출연硏, 블라인드 채용 개선 요구

"경력 우선에 사회초년생 불리" 지적도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정부가 공공 연구기관 블라인드 채용 폐지 방침을 밝힌 가운데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이 블라인드 채용으로 인해 인력 보강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석준 국민의힘 의원이 2일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소관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에 블라인드 채용에 대한 입장을 묻자 18개 기관이 “지원자의 전문성 확인이 어렵다”며 개선을 요구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등 각 분야 연구기관이 “블라인드 채용으로 지원자의 전공 적합성, 전문성, 연구 역량 및 수월성 등을 파악하기 어렵다”고 했다.



공공기관 블라인드는 문재인 정부에서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이겠다며 지원자의 출신 지역·학력 등이 채용 과정에서 노출하지 않도록 한 제도로 2017년 도입돼 모든 공공부문 채용에 적용됐다.

관련기사



하지만 과학기술 연구 현장에서는 지도교수, 논문, 참여한 과제 현황 등을 통해 연구자 전문성을 파악하기 때문에 블라인드 채용이 지원자를 충분히 검증할 수 없다는 지적이 있었다.

2019년에는 국가보안 시설인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블라인드 채용 방침을 따랐다가 중국 국적자를 선발한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원자력연구원은 뒤늦게 이 사실을 확인하고 중국 국적자를 불합격 처리했다.

블라인드 채용으로 인해 경력이 짧은 사회 초년생 연구원이 불리한 측면이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은 “경력이 우선 검토되는 특성이 있어 학교 졸업 직후의 신입 직원에 비해 기존 직장 경험이 있는 지원자가 유리할 수 있다”고 했다.

연구기관들은 블라인드 채용을 완화하고 예외 사항을 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다수 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연구 수행 인력에 대해서는 이름, 가족 관계 등 연구 업무 수행과 무관한 개인정보를 제외한 논문 전문, 과제 참여 내용, 연구실 및 학교 정보, 학교에서 수학한 내역을 공개하는 등 전반적으로 블라인드 채용을 완화해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도 “연구개발 목적 기관에 대해서는 주무 부처 협의를 통해 별도로 블라인드 예외 사항을 정할 수 있도록 한다면 우수 인력 확보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관계자는 “연구기관의 블라인드 채용과 관련해 관계부처와 함께 관련 지침 및 가이드라인 개정 등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강도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