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정부, 5년간 2조 투입…초격차 스타트업 1000곳 키운다

AI 등 10대 분야 민간투자 촉진

글로벌 펀드도 8조원으로 확대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3일 서울 용산구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신산업 기술기반 스타트업 육성전략인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제공=중소벤처기업부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3일 서울 용산구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신산업 기술기반 스타트업 육성전략인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제공=중소벤처기업부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3일 서울 용산구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신산업 기술기반 스타트업 육성전략인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제공=중소벤처기업부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3일 서울 용산구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신산업 기술기반 스타트업 육성전략인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제공=중소벤처기업부



정부가 시스템반도체와 미래 모빌리티, 빅데이터·AI 등 초격차 10대 분야에서 독보적 기술력을 가진 스타트업을 1000개 이상 발굴해 집중 육성한다. 이를 위해 5년간 민관 공동으로 2조원 이상을 투입하기로 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3일 용산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이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첨단 미래산업 스타트업 육성전략: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앞서 지난달 27일 제11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이를 보고했고 후속 조치로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스타트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이 큰 10대 초격차 분야는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 모빌리티 △친환경·에너지 △로봇 △빅데이터·AI △사이버보안·네트워크 △우주항공·해양 △차세대 원전 △양자기술 등을 선정했다.

관련기사



자료: 중소벤처기업부자료: 중소벤처기업부


중기부는 10대 초격차 분야에서 공개모집형과 민간 및 부처 추천형, 민간 투자형 등 세 가지 방식으로 1000개 이상의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한 뒤 내년부터 5년간 2조원 이상의 자금을 투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정부 출연연구기관은 주관기관으로 스타트업의 기술 완성과 사업화를 지원한다. 기술이전과 공동연구 및 위탁연구, 실증 과정 지원 등을 통해 스타트업이 보유한 기술의 고도화를 돕고 제품과 서비스 사업화를 뒷받침한다.

이 같은 기본지원 이후 민간 투자시장에서 대규모 투자 유치를 받거나 글로벌 기업과 납품 계약을 체결하는 등 성과가 돋보이는 기업은 후속 지원도 받을 수 있다. 중기부는 연간 20곳 안팎을 선정해 글로벌 스케일업(규모 확대) 촉진을 위한 사업화 자금을 2년 동안 최대 10억원까지 지원하기로 했다.

유망 신산업 분야에 대한 민간 투자 촉진도 병행한다. 이에 1100억원 규모의 초격차 펀드를 신설하고 외국 자본을 유입할 글로벌 펀드를 현재 약 6조3000억 원 규모에서 내년 말 8조원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초격차 스타트업에 대한 정책자금과 보증도 우대할 방침이다.

이영 중기부 장관은 “스타트업은 국가 경제의 미래를 이끄는 근간”이라며 “미래 성장 가능성이 큰 첨단 미래산업 분야에 민간·정부 역량과 수단을 집중적으로 투자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초격차 스타트업을 반드시 탄생시키겠다”고 했다.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