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대기업 87% "경제안보 협력 1위 美"…"中은 경계 1순위"

■전경련 경제안보 인식 조사

기업 50% "자국 우선주의에 실적 악화"

53% "韓 경제안보 대처, 선진국에 미달"

"금융 불안정 가장 우려…안정화시켜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연합뉴스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연합뉴스




최근 각국이 경제안보를 내세워 자국 산업 보호주의를 강화하는 가운데 국내 대기업 절반이 이에 따른 실적 악화를 겪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매출액 상위 1000대 기업(금융권 제외, 총 150개사 응답)을 대상으로 실시한 ‘주요 기업 경제안보 인식 및 영향조사’에서 응답 기업의 50.0%가 최근 글로벌 경제안보 강화 움직임이 매출액, 영업이익 등 회사의 경영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매우 부정적 2.7%, 다소 부정적 47.3%)을 미치고 있다고 답했다고 3일 밝혔다. 글로벌 경제안보 강화에는 첨단산업·기술 보호, 수출입·투자 규제, 핵심 자원·소재 공급망 관리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실적에 영향이 없다고 응답한 기업은 44.0%에 그쳤다. 경제안보 강황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대답한 기업은 고작 6.0%(매우 긍정적 0.7%, 다소 긍정적 5.3%)뿐이었다.

조사 대상 기업의 49.4%는 경제안보의 중요성에 대한 우리나라의 인식 수준이 주요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낮은 수준(매우 낮음 4.7% 다소 낮음 44.7%)이라고 평가했다. 비슷한 수준이라고 판단하는 기업은 43.9%, 다소 높은 수준이라고 응답은 6.7%로 집계됐다. 세계 각국의 경제안보 움직임에 대한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대처에 대해서도 52.7%가 부족하다(매우 부족 4.0% 다소 부족 48.7%)고 밝혔다. 선진국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평가한 기업은 이보다 적은 44.6%였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기업들은 전 세계적 경제안보 움직임이 강화될 경우 외환·자본 시장 등 금융환경 불안정성 확대(40.7%)를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 뒤를 수출규제 등 공급망 악화(21.0%), 보호무역주의 확산(11.9%)에 대한 우려가 이었다.

관련기사



전경련은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정성 확대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미·중 갈등, 글로벌 공급망 악화 등 경제안보 문제가 지목되고 있다”며 “국가별 첨단산업 보호, 수출입·투자 규제 강화 등 움직임이 강화될 경우 금융시장의 불안이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다”고 걱정했다.

경제안보 시대를 잘 헤쳐나가기 위해 우리나라가 긴밀히 협력해야 할 1순위 국가에 대해서는 86.6%가 미국을 꼽았다. 중국을 1순위로 선택한 기업은 10.7%에 머물렀다. 협력 2순위 국가로 중국을 지목한 기업은 57.4%였다. 한미 협력을 가장 우선시하면서도 중국과의 협력도 어느 정도는 필요하다는 인식이었다.

경제안보 측면에서 1순위로 경계해야 할 나라로는 71.3%가 중국을 가리켰다. 중국을 2순위로 꼽은 비율도 32.8%에 달했다.

기업의 34.0%는 경제안보 국면이 4년 이상 지속될 것으로, 26.7%는 2~3년 정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1년 이내 단기간에 종료될 것이라 응답한 기업은 1.3%에 불과했다.

기업들은 우리나라 경제안보 달성을 위해서는 환율·유가 등 금융시장·원자재 가격 안정화(32.0%)가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짚었다. 다음으로는 소재·부품·장비 등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 지원(18.0%), 교역 국가와 우호·협력적 관계 강화(14.8%)가 뒤를 이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각국의 산업 보호 정책으로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 기업들은 단기적으로 적응 비용을 치를 가능성이 높다”며 “경제안보 시대에도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외환·자본시장 등 금융 환경 안정과 지속적인 공급망 확보 지원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