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글로벌 Why] 中에 밀착한 獨, 러 '에너지 종속' 전철 밟을라

■숄츠, 4일 논란 속 방중

대중 무역적자 57조원 사상 최고

수입 규모도 20년 만에 4배 급등

美 반대에도 원양해운 투자 허용

'中기업 퇴출' 캐나다 행보와 역행


4일 중국을 방문하는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베이징에서 시진핑 국가주석과 대면하게 될 첫 주요 7개국(G7) 정상이다. 숄츠 총리의 방중 일정에는 폭스바겐과 지멘스·머크·도이체방크 등 독일을 대표하는 기업들의 거물급 인사 10여 명으로 구성된 대규모 경제사절단도 함께한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이 러시아를 돕는 중국을 고립시키기 위해 전방위 반(反)중국 연대를 구축하는 와중에 시진핑 3연임 확정 이후 서방 인사 중 처음으로 중국을 찾는 그의 행보는 독일 내부에서도 논란거리다. 하지만 안팎의 우려를 무릅쓴 그의 방중에는 중국과의 디커플링(탈동조화)을 시도하기 어려운 독일 경제의 깊은 고민이 담겨 있다.








독일경제연구소(IW)에 따르면 올 상반기 독일의 대중 무역적자는 410억 유로(약 57조 원)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독일의 총수입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올 상반기 12.4%로 2000년(3.4%)보다 4배 가까이 급등했다. 같은 기간 독일의 중국 투자액 규모도 100억 유로로 직전 최고치인 62억 유로(2011년)를 이미 훌쩍 넘어섰다.



이 뿐만이 아니다. 중국은 독일 ‘완성차 3사’인 폭스바겐(판매 비중 39.3%), 메르세데스벤츠(36%), BMW(32.7%)의 최대 고객이다. 독일의 대형 화학 회사 바스프(BASF)는 중국 잔장 지역에 100억 유로 규모의 신규 공장을 짓는 대신 유럽 내 공장을 축소해나가겠다는 계획을 내놓기까지 했다. 로이터통신은 “독일의 중국 의존도가 엄청난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이것이 숄츠 총리가 국내외에서 쏟아지는 비난에도 중국과의 디커플링을 주저하는 이유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독일 정부가 각종 논란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중국 국영 해운사 중국원양해운(코스코)의 함부르크 항만 톨러오르트 터미널에 대한 지분 25% 참여를 허용한 것 역시 숄츠 총리의 고민의 결과라고 평가했다. 집권 세력 내부에서도 ‘유럽에서 세 번째로 물동량이 많은 터미널이자 안보와 직결된 주요 기반시설의 지분을 중국에 넘길 수 없다’는 반발이 쏟아지고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도 독일이 코스코에 대한 중국의 지분 참여를 거절하라고 압박했지만 숄츠 총리는 결국 중국의 자본력에 등을 돌리지 못했다.

숄츠 총리의 이 같은 ‘친중’ 행보는 서방의 반중 노선에 정면으로 배치된다. 일례로 캐나다 정부는 2일(현지 시간) “국가 안보와 핵심 광물 확보를 위협하는 투자에 단호히 대처한다”며 자국 리튬 업체에 투자 중인 중국 기업들에 투자 철회를 명령했다. 세계 첨단 기술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려는 미국과 서방의 흐름에 보조를 맞춘 것이다.

숄츠 총리 자신도 중국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는 인식을 드러낸 바 있다. 올 8월 한 행사에서는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교훈은 무역과 공급망에도 적용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 방중은 그가 여전히 중국에서 돌아설 생각이 없음을 보여준다. 숄츠 총리는 방중 직전인 3일 독일 일간지 프랑크푸르터알게마이네차이퉁에 실은 특별 기고에서 “중국은 변화된 상황에서도 독일과 유럽의 중요한 경제 파트너로 남아 있다”며 “중국과의 디커플링을 원하지 않는다”고 못을 박았다.

문제는 이 같은 중국 의존이 높은 러시아산 가스 의존 때문에 러시아의 ‘에너지 인질’이 됐던 과거를 답습하는 꼴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FT는 “독일의 러시아산 가스 의존은 수십 년에 걸쳐 벌어진 일”이라며 “독일이 당장 중국과의 관계를 끊지 않으면 결국 중국에도 볼모로 잡힐 것”이라고 지적했다.

조양준 기자·김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