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제2금융

올해 대부업에 10만여명 몰려…대부액·대부 기간 계속 증가

30~40대 대부업 최다 이용

5년여간 민원 1만6000여건

사진=이미지투데이사진=이미지투데이




올해에만 대부업에 10만여 명이 몰려 취약층 지원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중 3040세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대부업 이용자들의 평균 대부 기간이 길어지고 액수 또한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금융감독원 등이 국회 정무위원회 양정숙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대부업 이용자는 170만9000명에 달했다.

올해 상반기까지 10만3000명이 이용했는데 이 중 30대와 40대가 3만5000명과 3만3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20대 이하와 50대가 각각 1만6000명, 60대 이상도 3000명이나 됐다.



문제는 갈수록 대부업 이용자들의 평균 대부 기간이 길어지고 액수 또한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대부 기간은 전 연령층에서 40개월 이상 장기간에 걸쳐 이용됐으며 대부 목적은 생활비로 나타났다. 2017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평균 대부액은 508만2000원, 평균 대부 기간은 43.3개월이었다.

관련기사



평균 대부액의 경우 2017년 454만2000원에서 2018년 485만5000원, 2019년 461만3000원, 2020년 472만4000원이었고 지난해 522만7000원으로 500만원대를 넘더니 올해 상반기는 653만원으로 600만원대에 이르는 상황이다. 평균 대부 기간 또한 2017년 44.7개월, 2018년 45.4개월로 정점을 찍었다가 2019년 41.9개월, 2020년 41.4개월, 지난해 42.1개월, 올해 상반기 44.3개월로 증가했다.

연령별로 보면 올해 상반기에 50대의 평균 대부액이 771만1000원으로 최다였고 40대(757만4000원), 30대(707만원), 60대(653만원), 20대(564만9천원) 순이었다. 평균 대부 기간은 40대가 49.1개월로 가장 길었고 50대(48.3개월), 30대(47.8개월)가 뒤를 이었다.

급전이 필요한 서민의 대부업 이용 속에 2016년부터 올해 8월까지 금감원에 등록된 535개 대부업체에 접수된 총 민원은 1만6098건에 달했다. 가장 민원이 많이 접수된 업체는 엠메이트대부로 536건이었고 산와대부(535건)와 아프로파이낸셜대부(525건)가 뒤를 이었다.

대부 이용자들이 제기한 민원은 ‘채권 추심’이 주를 이뤄 정부의 다양한 규제에도 아직 많은 이용자가 빚 독촉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밖에 ‘원리금 부담 과도’, ‘명의도용 대출 문제’, ‘경제 상황 악화로 인한 선처성 민원’도 많았다. 하지만 2018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금융당국의 대부업체에 대한 제재는 5년간 26건에 불과했다. 인허가 취소 등 강력한 제재는 2020년 1건에 불과했다.

양정숙 의원은 “사회에 처음 진출한 20대부터 대부업체를 이용하기 시작해 30대, 40대 들어 가장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50대에 가장 많은 금액을 빌린다”면서 “빚에서 시작해 빚의 수렁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취약계층을 구제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